gamma-aminobutyric acid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포유류의 뇌 속에만 존재하는 특이한 아미노산으로 뇌와 척수를 포함한 중추신경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gamma motor neuron 감마 운동 뉴런: 신경계의 흥분을 전도하는 세포. 전형적인 뉴런은 핵과 그 주위의 세포질을 함유하는 세포체로 약간의 짧은 방사상 돌기 및 한 개의 긴 돌기로 이루어지며, 이 축삭은 잔가지 모양의 분지로 끝나고 그 경과를 따라서 돌출하는 수가 있다.
gamma behavior 감마 행동: Conture의 네 가지 잠재적 단계(알파행동, 베타행동, 감마행동, 델타행동) 중 하나. 긴장되거나 고착되거나 혹은 둘 다를 보이는 구어행동이며 베타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행동은 후두의 닫힘, 입술의 접촉, 혀의 고정이 있는 행동들을 포함한다. 이 행동들로 인해 들을 수 없는 연장이 일어나며 공기 흐름이나 발성이 깨지게 된다. 이 단계는 말더듬이 시작된 단계로, 자연적인 회복이 일어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Conture's stuttering track 참조
differential threshold 감별역치: difference limen 참조
difference scores 감별점수: 사람의 지적 능력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내적 능력의 분석 을 실시하기 위한 점수.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는 어떤 사람의 지적 능력의 강점과 약 점을 검사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의 성취도 점수가 모든 지적 능력들에 걸쳐서 낮다면, 종종 일반적인 지적장애와 관련된다. 반대로 지적 능력들에 걸쳐서 많은 강점과 약점이 나타난 종종 학습장애, 주의력 및 운동력 결함들 등과 관련 되어 있다. 감별점수는 검사점수들 사이에서의 차이로 계산되어진다
differential diagnosis 감별진단: 어떤 상태에서는 나타나고 다른 상태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저한 증후나 속성을 발견하여 두 개의 비슷하게 드러난 상태 사이의 차이를 구 별하는 과정. 증상, 검사결과 등 환자에 대해서 얻은 모든 정보를 기초로 해서 도출되 는 질환 가운데에서 비교, 감별함으로써 가장 합리적으로 그 본태를 설명할 수 있는 질 환을 감별하는 작업을 감별진단이라고 한다. 질병의 경과에 따라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임시 진단을 내리고 충분한 정보를 얻은 뒤에 수정․감별해야 할 질병 을 제외해 나간다. diagnosis 참조.
appreciative comprehension 감상적 이해: 읽기를 통해 심미적으로 만족을 갖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성경’과 같은 것을 읽는 것이 여기에 해당된다.
emotional quotient 감성 지수: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공감능력과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감성 지수는 갈등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과 사회적 적응 기술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지능 지수(intelligence quotient)와 대조되는 용어이다.
meio- 감소: '감소'의 의미를 갖는 접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