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sh speech 거친 구어: 성대진동이 비주기적이며, 불규칙적으로 나는 소리로 성대 근육이 긴장했을 경우 생기며, 기질적인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기질적인 경우는 성대에 점막이 형성되었거나 성대의 마비, 가성대의 진동, 성대가 부어서 팽창한 경우나 성대의 일부나 조직이 파괴된 경우에 생기는 것이다.
rough hoarseness 거친 목쉰소리: 성대에서 두 개의 다른 위치에서 일어나는 성대진동의 결과로 보는 2색 음성.
gross sound 거친 음: 환경이 원인이 된 소리.
harsh voice 거친 음성: 본질적으로 성대 긴장으로 나타나는 특성으로 부전실성증의 한 유형이다. 음성이 너무 목쉰 소리거나 찌르는 소리여서 듣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준다. 아마 튀김판에서 베이컨이 지글지글하고 소리나는 것과 같은 소리가 나기 때문에 이러한 음성을 음성 프라이(음성튀김, vocal fry)라고도 한다. 이 음성 프라이가 빠르고 심한 긴장을 수반할 때, 쇠되거나 거친 음성의 기본 음질이 일어난다. 이 음성은 종종 후두 부근에 국한된 긴장을 수반한다. 어떤 경우에서는, 거친 음성으로 말하는 사람들이 너무 높은, 혹은 종종 남자들은 그들의 특별한 구조에 대해서 너무 낮은 음도수준에서 발성하려고 한다. 그 원인은 과도한 긴장과 같은 행동적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단단한 접촉이 나타나기도 한다. 거친 음성의 일반적인 원인은 모방, 적의 및 공격을 포함하는 성격문제, 차폐잡음의 존재 하에서 자기의 음성을 듣는 경우, 부적당한 음도수준의 사용 등이다. 치료는 부분적으로 성대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환자에게서 긴장을 감소시키는 것에 목적을 둔다. 환자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일 때 자연스럽게 이완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이완이나 암시를 통한 이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품/한숨이나 저작하기 기법을 성대긴장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roughness 거친 음성: 성대 진동이 비정기적이며 불규칙적이고 성대근육이 긴장하거나 성대의 점막 형성, 성대마비, 가성대의 진동, 성대의 팽창, 성대의 일부나 조직이 파괴된 경우 등과 같은 기질적 요인이 있을 때 나타나는 음성(예; 음성 프라이)이다. 후두의 위치가 인두 쪽으로 올라가고 인두 수축근의 과긴장으로 인하여 인두의 깊이와 넓이가 모두 감소되어 발생하는 소리로 대개 높은 공명주파수를 가진 음성으로 감지된다.
harsh voice quality 거친 음질: 비정상적으로 성대가 세게 내전되어 발생할 수 있는 발성장애. harsh voice 참조.
tendon 건, 힘줄: 근육과 뼈 또는 근육과 연골을 연결하는 결합조직.
health impairment 건강 장애: 심장질환, 결핵, 신장염, 천식, 겸상적혈구 빈혈, 혈우병, 간질, 납중독, 백혈병 또는 아동의 교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당뇨병과 같은 만성 또는 급성 건강 문제에 의한 제한된 근력, 지구력 등의 장애.
protected health information(PHI) 건강정보보호: 개인의 건강 상태, 의료 기록 등에 관한 모든 정보를 보호하도록 하는 미국의 법률. 종이에 기록된 물리적 형태를 포함하여, 전자 기록 및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