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빨기

sucking

sucking 빨기: 혀의 신장-위축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의 빨기 형태로 정상적인 발달과정의 어린이도 비영양성 빨기 습관을 할 수 있으며 대개 1세 전에 나타나 1~3세 동안 사라진다. 영양섭취를 위한 영양성 빨기(nutritive sucking)와 손가락이나 노리개젖꼭지(pacifier) 등을 빠는 행위인 비영양성 빨기(nonnutritive sucking)로 구분할 수 있다. 비영양성 빨기 습관은 이유기 단계로 이행시 심리적인 욕구에 의해 발생하며, 불안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조절능력을 얻고 접촉과 안정의 욕구를 만족 시키려는 행위이다.

빨기반사

sucking reflex

sucking reflex 빨기반사: 혀 내밀기와 들이기, 턱의 위, 아래 움직임 그리고 느슨한 입술 다물기를 포함하는 빨기의 원시적인 형태이다.

빨리 지나감

fleeting

fleeting 빨리 지나감: 말더듬의 시간측정에서, 머무는 시간이 거의 정상에 가깝긴 하지만 그 시간이 0.5초 미만인 시간으로서 시간체크는 하지 않는 아주 짧게 머무는 것을 말한다.

삐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 삐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cognitive development stage 참조. 

일견 단어 학습, 빠른 의미연결, 패스트 매핑

fast mapping

fast mapping 일견 단어 학습, 빠른 의미연결, 패스트 매핑: 아동의 빠른 어휘 습득을 설명하는 가설 중의 하나로 아동이 새로운 낱말에 대한 최소한의 노출만으로도 그 낱말이 어떠한 대상을 지칭하는지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여 새로운 단어와 연결하여 단어를 빠르게 학습해 나가는 단어학습 책략.

최량 골도

best bone conduction

best bone conduction 최량 골도: 골도 전도 가청역치를 구하는 검사에서 두 귀 중 골 도 청력이 좋은 귀로 듣는 결과.

피질, 뇌피질

cortex

cortex 피질, 뇌피질: cerebral cortex 참조. brain에서 cerebrum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