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natology 신생아학: 1. 신생아에 대한 연구. 2. 산과학(obstetrics), 소아과(pediatrics), 태아 생물학(fetal biology)과 관련된 subspecialty. 2. 신생아에 대한 장애의 진단 및 치료.
emergent language 신생언어: 유아기와 초기 아동기에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를 포함한 언어습득의 발달과정. language 참조.
neoglottis 신성문: 성문이 없을 때 성대 발성을 내기 위한 기능을 하는 진동 부분 혹은 영역. 어떤 학자들은 그 부분이 인두식도(PE) 연결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또 어떤 학자들은 상식도괄약근과 하인두수축근에서 나오는 섬유들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생각함. Syn: pseudoglottis.
neologistic distortion 신어적 왜곡: 한 낱말에서 생성된 말소리의 반 이상이 낱말의 본래의 말소리와 관계가 없을 때를 의미한다. 관계없는 음소 또는 의도한 음소의 전이가 나타나며, 한 낱말에서 생성된 말소리의 반 이상이 낱말의 본래의 말소리와 관계가 없을 때를 의미한다. 어느 정도의 조음의 유창성을 가지고 낱말을 하나의 단위로 발음하였을 때 이 용어를 사용한다. 정확한 조음 위치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말소리는 신어적 왜곡이라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서 만일 낱말을 알아들을 수 있게 발음하였다면 이를 조음의 실패 또는 심한 왜곡으로 점수 처리한다. 심한 경우에는 왜곡이 신어적 자곤(neologistic jargon)의 형체로 일어나기도 한다.
neologistic jargon 신어적 자곤: 가능한 구문 구조 내에서 표적단어와는 무관한 비단어(non-word)를 사용한다. jargon 참조.
neo-egocentrism 신자기중심성: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 아동이 메시지를 구성할 때 청자가 알고자 하는 것(또는 알기위해 필요한 것)을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어린 아동들은 화자의 관점을 거의 이해할 수 없지만, 아동이 인지적 및 사회적으로 성숙해짐에 따라 더 효과적으로 청자에게 집중할 수 있다. 전제(presupposition) 능력이라고도 한다.
idioglossia 신작 언어증, 자작 언어증: 1. 유아들이 성인 모델과 거의 유사점이 없이 자신들 사이에서만 사용하는 자곤(jargon) 형태의 말이다. 이 현상은 종종 쌍둥이들 사이에서 확인된다. 2. 음소의 생략, 대치, 왜곡, 전위 등이 너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그 말을 이해하기 어려운 하나의 새로 만들어진 언어로 보여 진다. 종종 지적장애아의 언어와 연관된다. Syn: idiolalia.
stretch 신장: 건, 근육을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stretch reflex 신전 반사, 뻗침 반사: 근육을 신전함으로써 근육의 긴장도(tonus)가 증가되는 반사. 근육의 건(tendon)을 가볍게 쳤을 때 일련의 근육이 수축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슬개건 반사와 아킬레스건 반사를 들 수 있으며 슬개건 반사는 대퇴사두근의 건이 슬개골 밑에 붙어 있으므로 슬개골하를 가볍게 치면 대퇴사두근이 수축되어 하지가 올라가고 아킬레스건 반사는 비복근과 장딴지근의 수축이 일어나 족관절의 저척굴곡이 일어난다. 교근과 측두근에서 일어나는 하악반사로는 제 5뇌신경(삼차신경이 이러한 근육들을 지배하고 있으며 반사궁을 이루고 있다. 반사를 검사하려면 입을 약간 벌리고 있는 상태로 턱의 치아 부분 위에 검사자의 손가락 하나를 놓은 다음 고무망치(해머)로 검사자의 손가락을 살짝 친다. 반사가 일어나면 입을 다물게 된다. 반사가 일어나지 않거나 약한 경우에는 제 5뇌신경의 경로를 따라 병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사의 항진은 상위운동 신경의 병변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reflex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