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신전 성문위 삼킴

extended supraglottic swallow

extended supraglottic swallow 신전 성문위 삼킴: swallowing maneuvers 참조.

신전, 확장, 확산

extension

extension 신전, 확장, 확산: 1. 신전은 해부학적 자세에서 인체를 좌우로 나눈 면 위에 서 일어나는 운동으로 각도가 적어지는 관절운동을 굴곡이라 하고, 반로 각도가 커지 는 것을 신전이라 한다. 표적인 굴곡과 신전운동이 일어나는 관절은 슬관절과 주관절 을 들 수 있다. 2. 정상 언어발달에서 보다 더 발달된 다음 단계의 언어형식으로 나아 감으로서 새로운 구나 문장의 길이가 점점 길어지는 현상. 구문에서 문장의 길이가 점 점 길어지는 것으로(예; 밥을 먹어요.→ 친구가 밥을 먹어요.). 문법형태소의 보강이 이루어지는 확(expansion)와 구분된다. 

신전흥분성, 근육자극반응성

myotatic irritability

myotatic irritability 신전흥분성, 근육자극반응성: 갑작스런 신전에 의해 일어난 자극에 반응하여 수축하는 근육의 힘. irritability 참조.

신조 착어

neologistic paraphasia

neologistic paraphasia 신조 착어: 해당 언어의 사전에는 존재하지 않는 비단어 혹은 신조어(neologism)를 만들어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신조어, 신어(新語)

neologism

neologism 신조어, 신어(新語): 자기만이 아는 의미를 가진 새로운 말을 만들어내는 현상. 1. 만들어진 단어로, 일반적으로 수용되어지는 언어 기호(code)에서 근거는 없으나, 언어적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단어. 2. 새로운 단어로 바뀐 상투적인 단어(conventional word)로 그 의미는 발화 속에는 나타나지 않음. 청자에게 의미가 없는 낱말을 말함: 실어증 환자에서 나타남. 실어증 환자의 언어에서 자주 나타남. 예를 들면, spoon과 fork를 spork로 말한다. jargon 참조.

신체 변형 장애

body dysmorphic disorder

body dysmorphic disorder 신체 변형 장애: 강박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신체 및 외모 에서 마음에 들지 않거나 혹은 상상으로 만든 신체 결함에 관하여 지나치게 집착하고 강박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신체 이미지, 신체상

body image

body image 신체 이미지, 신체상: 1. 내적인 감각, 자세 변화, 외부의 사물과 사람들과 의 접촉, 정서적인 경험, 공상 등으로부터 이끌어낸 자기 자신의 신체에 해, 특히 건 강과 질병과 관련하여 신체에 한 느낌들을 포함한 자기신체에 한 시각적 및 정신적 모습이다. 사람의 신체상은 자기 자신의 신체에 관한 주관적인 경험 즉 자기 신체를 자 기 자신이 보는 방법이다. 신체상은 자기자극에 한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ve sensation)과 내적수용 감각(introceptive sensation)에서 비롯된다. 또한 신체상은 사람이 자기 자신에 해서 가지는 여러 가지 인상도 포함한다. 예컨 자기가 잘났다 거나 못났다거나, 키가 크다거나, 작다거나 또는 행동이 빠르다거나 느리다거나 하는 자신에 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모든 느낌은 자기의 정서상태와 인간관계의 경험, 자기의 생활목표, 다양한 사회습관 등에 다소 좌우된다. 자기 자신의 신체에 관 하여 가지는 자기상은 지적으로 정상적인 사람이 자기의 팔, 다리 가운데 하나를 잃었 을 때 일어나는 환지(幻肢; phantom limb) 현상에 의해 입증된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자신에 한 합리적 영상 때문에 상실되어버린 수족에 해서도 촉각은 물론 심지어는 고통까지 느끼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상실되어버린 어느 수족에 하여 본인은 아직 그것을 그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체상은 인물화 연 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동작으로는 표현되지 않는다. 2. 자신의 신체 및 그 신체기관 간의 관계와 신체 기관과 주위 환경의 관계에 한 지각. 3. 음성에서, 자기의 이미지 를 반영하는 어떤 음질과 음도의 습득. 예) 어떤 젊은 남자가 자신을 나이가 든 것으로 생각하여, 이러한 이미지를 반영하기 위해 자신의 음도를 낮춘다.

신체상, 신체구도, 신체의식

body schema

body schema 신체상, 신체구도, 신체의식: 정지하고 있을 때와 움직이고 있을 때에 자 신의 신체에 관한 의식이나 감각이다. 그것은 운동이나 신체적인 감각(특히 평행감각과 운동감각)을 기초로 하여 발달하지만 동시에 운동의 기초가 된다. 이것은 편측성 (laterality)과 함께 신체의 중심이나 신체의 전후, 상하, 좌우 등의 차이에 관한 의식 이나 감각을 발달시킨다. 그러한 의식이나 감각은 오른손 방향, 왼손 방향에 있다는 것 처럼 자신의 신체 외부에 존재하는 사물에도 적용시킨다. 이것이 좌우 지각의 시작이 다. 이런 방식으로 앞, 뒤, 위, 아래 등의 지각도 발달한다. 또 사물이 2개 이상 존재 하는 공간 위치에 관해서도 자신의 신체를 중심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신체운동능력

physical work capacity

physical work capacity 신체운동능력: 생리적 최대 일 양은 일의 증가에 따른 산소요구량의 증가를 따르지 못하는 수행능력의 수준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