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 structure 심층 구조: 개별 단어 의미들이 문장의 의미를 만들어내기 위해 연결되 어지는 특정한 규칙으로, 변형(transformations)이 발생하기 전에 그 언어의 의미 체계 와 관련되어 진다. Syn: base or underlying structures. structure 참조.Syn: base or underlying structures. structure 참조
deep dyslexia 심층 부전실독증: 환자가 읽을 때 의미론적 오류를 나타낸다. 다른 증후 도 나타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시각장애, 기능어 대치, 파생된 오류들을 나타낸다. 상상으로 떠올리기 힘든(정보하중이 낮은; low-imageability) 단어는 높은(high imageability) 단어 보다 낭독하기가 더 어렵다. 동사는 형용사보다 낭독이 더 어렵고, 형용사는 명사보다 낭독하기가 더 어렵다. 그러나, 만일 낭독 시 의미론적 오류가 있다 면, 비록 그 사람이 다른 증후를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은 이런 형 태의 후천성 부전 실독증을 가진 것으로 진단될 수 있다.
deep dysgraphia 심층 부전실서증: 쓰기에서 의미적 오류가 나타나는 장애
deep level 심층 수준: levels of processing model 참조.
deep orthography 심층 표기: 철자와 소리 사이의 일치도가 낮은 철자 체계로, 영어가 그 예이다. 영어의 경우 자소의 소리 값이 단어 내의 위치나 단어 자체가 바뀜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영어는 규칙을 알아도 바르게 읽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orthography 참조.
deep alexia 심층실독증: 음운경로와 어휘경로 모두가 손상되면서 결함이 있는 어휘경로 를 통하여 읽기 과정이 처리되므로 읽기에서 의미적 오류가 나타나는 장애이다. alexia 참조
deep alexia 심층실독증: 음운경로와 어휘경로 모두가 손상되면서 결함이 있는 어휘경로 를 통하여 읽기 과정이 처리되므로 읽기에서 의미적 오류가 나타나는 장애이다. alexia 참조.
deep agraphia 심층실서증: 음운경로와 어휘경로 모두에 광범위한 손상으로 인하여, 결 함이 있는 어휘경로를 통하여 쓰기 과정이 처리되므로 쓰기에서 의미적 오류가 나타나 는 장애이다. agraphia 참조
deep agraphia 심층실서증: 음운경로와 어휘경로 모두에 광범위한 손상으로 인하여, 결 함이 있는 어휘경로를 통하여 쓰기 과정이 처리되므로 쓰기에서 의미적 오류가 나타나 는 장애이다. agraphia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