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posium 심포지엄: 주어진 하나의 주제에 대해 몇 사람의 연설자가 서로 다른 입장에서 강연을 하는 형식.
anarthria 심한 운동구어장애, 구어불능증, 실구어증: dysarthria보다 더 심한 구어장애. 구어를 조음하는데 영향을 받은 운동 구어 장애의 가장 심한 형태. 조음기의 운동을 통 제하는 중추신경계 혹은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생긴다. 결과적으로, 환자가 의사소통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의 AAC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dysarthria 참조.
severity ratings 심한 정도 평정: 현상의 심한 정도에 대한 부모, 보호자 및 아동이 실시한 지각적 평정. 말더듬을 예로 들면 1은 말더듬이 없는 경우, 2는 매우 경미한 말더듬, 10은 매우 심한 말더듬을 뜻하는 경우이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말더듬의 변화를 모니터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severity conversion table 심한 정도 환산표: 아동이나 성인에게서 장애의 심한 정도를 표준 데이터에 있는 점수와 얻은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심한 정도를 퍼센타일 점수로 나타내거나 매우 경미함(very mild), 경미함(mild), 중등도(moderate), 고도(severe), 최고도(very severe) 등과 같은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준으로 나타낸다. 말더듬 정도 측정 검사(SSI)에서는 짧은 구어 분절음의 연장이나 반복의 빈도, 머무르는 시간, 신체적으로 수반되는 행동특징 등을 채점하여 세 점수를 모두 더하여 얻어진 총점으로 어떤 아동의 말더듬 정도를 심한 정도 환산표에 있는 점수와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다.
severity 심한 정도, 심도, 중증도: 장애의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경도, 중증도, 심도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얼마나 심각한 장애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0(정상)---10(매우 심함)이라는 척도 상에 있는 모든 정도를 나타낸다.
enrichment 심화: 일반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학습내용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교육 방법으로 주로 영재아 교육에서 사용됨.
advanced stuttering 악화된 말더듬, 심화된 말더듬, 진전된 말더듬: 도피 및 회피 행 동 특징이 있고, 정서 및 태도에서 공포, 좌절 등의 정서적 특징과 함께 부정적 자아개 념을 나타내는 말더듬 단계이다. 도피행동과 회피행동을 정교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말 더듬인 자신도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 모를 때가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stuttering 참조.
singlish 싱글리시: 싱가포르식 억양과 방언이 가미된 영어. 싱가포르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영어, 중국어(만다린어), 말레이어, 타밀어의 영향을 받은 영어이다.
sinusoidal wave 싸인파, 정현파: 1. 한 개의 정점(crest)과 골(valley)이 있는 수직적으로 또 수평적으로 동형인 파. 2. 한 개의 단일 주파수를 가진 파로써, 모든 파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예) 순음, Syn: simple, sine, pure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