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쓰기 과정 장애

writing process disability

writing process disability 쓰기 과정 장애: 쓰기장애는 크게 문자와 단어를 임의대로 모사하고 만드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열등한 운동협응 능력, 부적절한 좌우 식별 능력이나 시력 등의 문제에서 기인하는 손으로 글씨쓰기(handwriting) 곤란, 손의 근육 운동이 정상이고 글도 잘 읽으면서도 제대로 글자를 만들어 내지 못하는 난서증(dysgraphia), 철자법이 틀리거나 문법 규칙에 맞게 적지 못하는 철자(spelling) 곤란, 개념을 조직하고 관계, 시간의 순서, 추론 등의 정신적 조작의 어려움으로 글을 짓는 데 어려움을 갖는 작문(composition) 곤란 등이 포함된다. 쓰기 장애의 원인은 환경적 요인과 개인의 내적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강제적 교수, 부적절한 교수, 잘못된 연습, 적절한 감독의 부재 등이 있다. 내적 요인으로는 과제와 연관된 전략의 이해 부족, 상위인지적 지식의 결함, 인지 과정의 손상, 운동통제력 결함, 시각 및 공간지각 결함, 시청각적 결함, 시기억 결함, 손의 선택 능력 등이 있다. <참고> handwriting 손으로 글씨쓰기.

쓰기 유창성

writing fluency

writing fluency 쓰기 유창성: 제한된 시간 내에 글자를 정확하게 얼마나 많이 쓸 수 있는가를 말한다. 맞춤법에 따라 정확하게 쓰는 철자단계와 창조적인 글을 쓰는 작문단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다. 속도가 빨라지면 글의 의미에 주의집중하게 되고 작문까지 할수 있게 된다. 제한된 시간 내에 쓴 정확한 단어/음절/음소 수 등을 계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쓰기운동 수행 문제

graphomotor implementation problem

graphomotor implementation problem 쓰기운동 수행 문제: 뇌가 어떤 손가락 근육에 어떤 동작을 지시해야 할지를 결정하지 못하는 것.

쓰기장애, 쓰기학습장애

disorder of written expression

disorder of written expression 쓰기장애, 쓰기학습장애: 1. 개인의 생활연령 측정된 지능, 연령에 적합한 교육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하게 낮은 쓰기 기술. 2. 자 신이 이해하고 생각한 내용을 글로 써서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학생들로 서, 지능지수가 80이상이고, 학업 성취가 학년 규준보다 1.5년 이상의 낮은 성취를 보 이는 학생을 말한다.

쓰기학습장애

writing learning disorders

writing learning disorders 쓰기학습장애: disorders of written expression 참조.

씹기 반사

chewing reflex

chewing reflex 씹기 반사: 신생아들의 반사적이고 자동적인 구강 반사의 일종으로 잇몸 을 가볍게 치면 턱이 리듬 있게 움직여 자연스럽게 씹는 동작이 나타나는 반응이다.

씹기, 저작

chewing 씹기, 저작

chewing 씹기, 저작: 입 안에 들어온 음식물을 치아와 혀를 사용하여 잘게 부스고 으깨는 동시에 타액과 혼합하여 삼키기 쉬운 음식 덩이로 만드는 섭식행동이다. mastication 참조.

일차성 구개

primary palate

primary palate 일차성 구개. palate 참조.

청능 훈련 프로그램

auditory training program

auditory training program 청능 훈련 프로그램: 처음 혹은 변경된 소리 증폭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하는 난청 아동 및 성인을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