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hievement test 성취도 검사: 교육이나 생활경험을 통하여 이미 학습되어 온 과제들을 개인이나 집단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숙달하였는지를 알기 위한 검사이다. 즉, 이미 배 운 것을 얼마나 잘 하느냐 하는 것이다. 성취도 검사는 과거에 배웠던 것에 한 검사 이며, 지능이나 적성, 성취도는 서로 간에 큰 차이는 없다. 적성은 미래의 의미, 성취 도는 과거의 의미가 있다. 성취도 검사는 교수학습의 준비도, 학습부진아 분류, 자신의 능력수준 측정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
performance test 성취도 검사: 성취도 검사에서 언어의 역할은 최소화되고, 구두 언어보다는 다른 겉으로 드러난 운동반응을 요구하는 과업을 통해 실시되는 검사.
achievement quotient(AQ) 성취도 지수: 개인이 검사에서 얻은 점수와 생활연령과의 비. IQ 참조.
Diagnostic Achievement Battery-2 성취력 진단 검사-2: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수학에서의 능력에 대한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개별적으로 실시되는 학업 성취 검사이 290 diagnostic articulation test 다. 하위 검사는 이야기 이해, 특징, 동의어, 문법 완성, 알파벳·단어지식, 독해, 대 문자의 사용, 구두법, 철자법, 작문, 수학적 추리와 계산을 포함한다. 작문, 철자, 대 문자의 사용, 구두법, 수학 계산 하위 검사는 소집단에 주어진다. 하위 검사 점수는 평 균이 10이고 표준편차가 3인 표준점수와 백분위로 전환되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수학, 구어, 문어, 전체 성취의 합성 점수 평균100 표준편차 15)가 하위 검사를 조합함 으로써 산출된다
performance objective 성취목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관찰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용어로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목표 행동에 대한 진술; 학습자에게서 기대되는 결과를 용어로 쓴 표현. 성취목표의 요소들로는 어떤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①참여자, 즉 행동을 하는 사람, ②실제 행동, 즉 행위, ③산물, 즉 행동의 결과, ④조건, 즉 바른 성취를 하는데 필요한 필요조건, ⑤측정기준, 즉 그 성취의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 등의 요인들이 필요하다. Syn: behavioral, instructional, or operational objective.
sexual abuse 성학대: 성인이 자신의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미성숙한 아동에게 성적인 착취, 유희, 가해하는 모든 성적 행위를 말한다.
longitudinal tension 세로 긴장력: 출생 초기에는 중력에 한 자세의 통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지는 몸 쪽으로 굴곡 내전 시키고 머리는 턱을 가슴 상부에 는 생리학 적 굴곡자세를 취하며 강한 울음, 흥분, 의도적인 활동 등을 하는 동안에 나타난다
longitudinal muscle 세로근: intrinsic muscles of the tongue 참조
striation 세로선: 무성음을 스펙트럼으로 분석하면 세로선이 강하게 나타난 다음에 음의 압력이 나타난다. 이러한 세로선을 spike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무성음 중에서 /파/를 발성할 때 잠시 숨을 멈추고 입술이 붙을 때 생성되는 음이 세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