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ot study 예비 연구: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하기 전에 제안된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준비개념으로 실행하는 작은 규모의 실험연구.
preparatory condition 예비 조건: 화행(speech act)이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대화 참가자의 상황적 조건. 예를 들면, '이번 수능 시험이 어려웠어.'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화자가 이번 수능을 봤어야 하고,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이상의 나이여야 하는 등의 예비 조건이 필요하다.
pilot testing 예비검사: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본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소수에게 먼저 실시해서, 검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알아내어 개선하고 보완시키기는 위해서 실시하는 검사이다. 그래서 검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손해를 막을 수 있으며,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만들 수 있다. 나이, 성별, 민족적 차이 등에 대한 것에 대해서도 평가한다. 예비 검사에서 이러한 것들에 차이가 많이 난다면 본 검사의 최종 양식에서는 제외시킨다. 문항에 대한 검토가 끝나면, 다음 단계로 전체 문항들을 소수의 응답자들에게 실시하여 어떠한 문제점이 없나를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보통의 경우에는 20~30명 정도의 인원이면 충분하나 상업적 용도로 사용하려는 경우는 더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약 100~200명 정도). 문항이 많은 경우는 문항을 나누어서 여러 집단에 실시해도 무방하다. 예비검사를 통해서 검사 개발자는 응답자가 검사의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자세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반응하는 도중에 잠시간 쉬는 행동을 보인다거나 자세히 읽지 않고 대충 반응하는 것 같아 보이거나 답을 자주 바꾼다거나 하는 등의 행동을 보이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검사를 실시한 후 응답자들로부터 검사에 관한 전반적인 피드백을 받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로부터 특정문항에서 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이 있었는지 실시 시간은 어떠했는지 검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언할 내용은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각 문항에 대한 간단한 기술 통계치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자료를 통해서 검사 개발자는 문항의 난이도가 어느 정도이며, 문항에 대한 반응에서 개인차가 어느 정도가 되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다. 물론 자세한 문항 분석은 나중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자료를 얻은 후에 실시하여 특정 문항을 제거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문항에 대한 표준편차가 너무 적다면 즉 개인차가 너무 없다면, 그 문항을 제거하거나 대폭 수정을 한 후 자료를 다시 모으는 것이 바람직하다.
reserve volume 예비량, 저장량: 호흡에서, 폐의 모든 용량이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잔기량(tidal volume: 공기량, 1회 용량) 수준 이내에서 유지한다. 사용될 수 있는 공기의 나머지는 예비량(reserve volume)이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태가 있다.
anticipation 예기, 예견, 예측: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내다봄.
predictive inference 예측 추론: 과거의 관찰을 기반으로 미래관측의 예측을 강조하는 통계적 추론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predictive validity 예측 타당도, 예후타당성: 준거타당도의 하나로서 검사점수가 미래의 행동을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느냐에 관심이 있다. 또한 예후의 판단이 타당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나타내는 기준이 되는 특성.
Predictive Adaptive Lexicon(PAL) 예측기제 어휘목록: Dundee 대학교의 마이크로컴퓨터 센터에 있는 Alan Newell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개발한 소프트웨어. 이 프로그램은 의사소통 장애인용으로 개발된 것이며, 학습장애 아동이나 성인들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PAL은 5,000개 어휘가 수록된 사전이 있다. 사용자가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그 문자로 시작되는 가장 자주 사용되는 단어가 화면에 나타난다. 그 단어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첫 번째 다섯 개의 기능 키 가운데 하나를 작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하는 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찾을 때까지 문자를 계속 입력한다. 연구팀은 PAL이 어떠한 워드프로세서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PAL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Palstar라고 불리는 워드프로세서를 개발하였다. PAL은 IBM-호환용 컴퓨터에서 작동될 수 있다.
predictability 예측성: 역동적 검사 결과는 향후 치료 예후를 예측하게 한다. 조음치료에서는 자극반응도 검사로 향후 음운습득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