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idental gaps 우연한 공백: 음운배열상 가능한 형식이지만 뜻이 없는 무의미한 단어 들을 일컫는다. 영어에서 blick, creck, cruke, cruk crike들은 음운배열을 준수하고 있지만 무의미한 단어들이다. 이들을 우연한 공백을 이루는 어휘들이라고 한다. 그러나 bnic과 같은 단어는 blick과 달리 영어 단어라는 인상이 들지 않는데, 이것은 bnic이란 어휘 자체가 영어의 음운배열의 법칙을 어기고 있기 때문이며 이를 체계적 공백이라고 한다.
depress 우울: 슬프고 불행한 감정을 말한다. 우울증과는 다르지만, 우울한 감정이 오래 지속되어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가 되면 우울증과 같은 증상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melancholische verstimmung 우울증: 울병 증세가 있어 생기가 없고 모든 생활이 늘 우울한 병증. 경증일 때에는 뚜렷한 애수감은 없고 모든 감정적 공감이 전혀 없어진다. 중증인 경우는 심각한, 더욱이 동기도 없는 애수감에 빠지고 고민을 하며, 허무적이고, 공연한 걱정이나 죄악감과 죄책감이 강해져서 마침내는 자살할 생각까지 갖게 된다. 우울상태는 사람마다 차이는 있으나, 보통 6개월 정도면 건강한 정신상태로 회복된다. 치료방법으로는 심신의 안정을 위한 환경조성이 절대 필요하며, 약물요법으로는 항우울제의 투여를 통해 치료한다. 자살의 위험까지 있을 때에는 전기쇼크요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superiority 우월감: 자기 자신이 남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할 때 느끼는 감정. 남보다 우수하다는 객관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열등감의 보상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right ear advantage 우측 귀 우위: 좌측 귀보다 우측 귀를 통해 들은 정보를 더 빨리 처리한다는데서 유래된 우위 효과. 우측 귀로 들은 정보는 좌뇌에서 해석되는데, 좌뇌가 우뇌에 비해 논리적이며 언어 정보를 해독하는 능력이 뛰어난 데서 기인한다.
right homonymous hemianopsia 우측 동명 반맹: 좌반구 언어피질 영역들의 손상으로 인한 실어증 대상자에게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 시지각적 결함으로, 좌·우측 시야에 있는 사물의 각 우측이 보이지 않는 현상.
right superior temporal gyrus 우측 상측두회: 측두엽 외측 표면에 있으며, 상측두고랑(superior temporal sulcus)의 위쪽인 상측두이랑은 헤쉴이랑(Heschl's convolution)이라고 한다. 이 부분이 청각을 인식하는 중추가 되는 일차청각영역(primary auditory area)이다. 상측두고랑의 뒤쪽 1/3은 두정엽의 변연상이랑(supramarginal gyrus), 각이랑(angular gyrus)과 함께 감각언어중추(sensory speech center)이다.
right temporal pole 우측 측두극: 오른쪽 측두엽의 가장 앞부분.
right recurrent laryngeal palsy 우측 회귀성 후두신경마비: 후두개의 암종(carcinoma), 우측 폐 첨부(apex of right lung)의 늑막농화(thickening of pleura), 우측쇄골하동맥의 동맥류(aneurysm), 폐의 부분제거를 실시한 폐절제술 등이 원인이다. 증후는 매우 약한 기식성 음성이다. 쥐어짜서 내는 소리는 목쉰 소리를 만들게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