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blishing operation 유인력: 동기를 양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이는 아동의 환경 에서 어떤 사항이나 사건에 대해 동기를 확립하는 효력이다. 유인력을 다루기 위해서는 아동의 주변을 관찰하고 조작해 무엇이 그를 동기화시켰는지 결론을 내려야 한다. 예를 들면 배고픈 사람에게는 음식에 대한 유인력이 효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유인력은 박탈(너무 적은)에서 포만(너무 많은)의 연속체로 볼 수 있고, 큰 소음과 유해한 맛과 같은 혐오적인 자극에도 적용이 된다.
heredity 유전: 유기체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난 속성을 의미한다. 조상으로부터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능력과 잠재력의 총체.
genetic counseling 유전 상담: 의학적으로 특별히 훈련된 상담자와 아이를 가지려고 하는 사람이 자신의 유전적인 상황으로 인해 태어날 아기가 장애아가 될 가능성에 대하여 상담하는 것.
heredodegenerative hearing loss 유전 퇴행성 청력 손실, 유전변성 청력손실: 유전인자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선천성 청력손실로 전체 청각장애 아동의 30-60%로 추정한다.
hereditary 유전성: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달되는 유전을 뜻하는 것.
hereditary ataxia 유전성 운동실조: 사고나 상해 혹은 외부 자극과 무관하게 유전성으로 운동실조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척수와 소뇌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조화를 이루지 못한 이상한 걸음걸이를 보이며, 손과 눈동자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고, 말을 할 때 발음을 잘못하는 말더듬이 나타난다. 유아기와 성인기 사이에 어느 때나 나타날 수 있다.
genetic disorder 유전성 질환: 유전자나 염색체에 있는 해로운 변이로 인해 생기는 질병이다. 유전자 질환, 유전병이라고도 한다.
genetic hearing loss 유전성 청력 손실: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난청. 가족 중 한 명 이상에서 특별한 원인을 알 수 없는 난청인이 있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양쪽 귀가 점차 들리지 않는 경우 유전성 난청을 의심한다. 현재까지 약 150여 개의 유전자가 난청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heritability 유전율: 특정 집단에서 형질이 다른 개체가 태어날 때, 그 양적 형질이 어느 정도가 다음 세대로 유전되는가에 관한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