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isation 양자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거치는 과정. 표본화된 연속적 크기 값의 신호를 이산 크기 값을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양자화를 거친 신호는 시간축과 진폭축에서 불연속적인 신호가 된다. 즉, 신호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유한한 값 중의 하나로 대체시키는 과정이다.
quantitative research 양적 연구: 체계적인 절차와 관찰을 통해 계량화된 자료를 토대로 가설을 증명하는 연구.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자료 수집, 자료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체계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자료의 증거가 강력할수록 가설이 참인지 혹은 거짓인지가 더욱 확실해진다. 양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기존의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연구가설을 도출한 후 잘 계획된 연구 설계,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자료 수집, 적합한 자료 분석을 통해서 연구가설을 체계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양적 연구는 이러한 것들을 얼마나 잘 충족시키고 있느냐에 따라 연구의 질이 결정된다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양전자 방사 단층 촬영(법):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radio-isotopes)를 사이클로트론(cyclotron)에 저장하여 정맥주사 또는 흡입으로 투여한 후 그 물질의 분포를 영상화하는 방법이다. 방사선 동위원소는 양전하를 방출하고, 전자 형태를 띤 분자들을 양전자(positron)라 부른다. 이러한 양전자는 신체 내에서 발견되는 음전하(negative electrons)를 파괴하고, 감마선(gamma rays)을 산출한다. 이 때 기록되는 것이 감마선이다. 이러한 모든 정보는 칼라 PET scan을 산출할 수 있도록 제작된 컴퓨터에 저장되며, 신체내의 방사선 동위원소의 위치를 나타내게 된다. PET scan은 신체의 구조 자체에 대한 정보보다는 다양한 위치에서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단층사진(scan)은 뇌와 심장의 혈류, 뇌출혈이나 심장병의 결과, 암 생장물(cancerous growth), 정신분열증에서 화학적 변화, 간질, 강박-충동 장애, 노인성 치매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bilateral contralateral routing of signals(BICROS) 양측 교신호 보청기: 양측에 청력이 손실되었지만 단지 청력을 이용할 수 있는 귀가 한 쪽 귀만 가진 것으로 증명된 환자들에 게 사용된다. 마이크로폰은 머리 양쪽에 부착하고 증폭된 신호는 더 나은 귀로 전달되어 진다. CROS 보청기와 유사하나 마이크가 머리 양쪽에 각각 1개씩 있는 보청기이다. 두 개 의 마이크가 단일 수신기와 같은 증폭기에 연결되어서 장애는 있지만 더 좋은 귀에 연결 되어 있으며, 피드백을 피하기 위해 폐쇄된 이어몰드를 사용한다. hearing aid 참조.
bilateral adductor paralysis 양측 내전근 마비: 양성가 정중선(paramedial)의 위치에 서 항상 열려있어 완전한 폐쇄가 이루어질 수 없는 마비 상태로 발성장애가 나타난다. laryngeal nerve palsies 참조.
regularity of vocal folds mobility 양측 성대 진동의 규칙성: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성대의 진동 양상이 규칙적인지 여부를 관찰하는 항목이다. 발성 시 연속으로 나타나는 성대 점막의 진동의 규칙성. 규칙성(regularity)은 위상의 개념이고, 대칭성(symmetry)은 양쪽 성대의 움직임에 관한 개념임. symmetry of vocal folds mobility 참조.
symmetry of vocal folds mobility 양측 성대 진동의 대칭성: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성대의 진동 양상이 대칭적인지 여부를 관찰하는 항목이다. 발성 시 연속으로 나타나는 성대 점막의 진동의 대칭성. regularity of vocal folds mobility 참조.
bilateral cleft lip 양측 입술 파열, 양측 순파열: 파열이 윗입술의 주홍색 경계선 (vermillion border)에서 양측 콧구멍으로 뻗쳐진 입술 파열 형태. cleft lip 참조.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양측 인공와우이식: 좌이와 우이에 고도의 감각신경성 난청이 발생한 환자가 보청기를 착용하여도 도움이 안 될 때, 인공와우를 달팽이관에 이식하여 달팽이관 내에 남아있는 나선신경절세포나 말초 청신경을 직접 전기적으로 자 극하여 뇌 청각중추에서 소리를 인지하도록 이식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