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icing of final consonants 어말자음 무성음화: 어떤 단어 다음에 묵음을 예측하고 어말 유성자음을 어말무성자음으로 대치하는 변동. 우리말에서 파열음 종성은 항상 무 성음화된다. 예) bed=bɛt, big=bɪk
devoicing of final consonants 어말자음 무성음화: 어떤 단어 다음에 묵음을 예측하고 어말 유성자음을 어말무성자음으로 대치하는 변동. 우리말에서 파열음 종성은 항상 무 성음화된다. 예) bed=bɛt, big=bɪk
mother acceptance 어머니 수용: 어머니가 친구를 집에 놀러오게 하는 것, 어머니가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놀아주는 것, 어머니가 예쁘다고 쓰다듬어주며 안아주는 것, 어머니가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주는 것과 같이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아동이 얼마나 수용되는지에 대한 자신의 사회적 수용을 아동 자신이 지각하는 것.
apocope 어미음 생략: 낱말의 끝에 위치한 1개의 분절음 또는 여러 개의 분절음이 생략 되는 경우.
coding 어법: 언어적 선택과 조작을 조절하는 원칙을 의미한다. 말의 앞뒤를 가리어 분 명히 하는 태도.
assembly 어셈블리: 기호언어를 기계언어로 된 전체 프로그램으로 바꾸는 프로그램 변환 과정. 이런 변환은 어셈블리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어셈블러에 의해 실행된다.
word order 어순: 구와 문장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단어들의 순서. 영어에서 어순은 고정되어 있는데(syntagmatic relations 참조) 반하여, 독어에서는 동사가 제2의 생각을 가지고 있을 때(반드시 문장에서 두 번째 단어일 필요는 없다) 문장에서 단어들 주변에있는 부사구와 동사와 함께 어순이 변할 수 있다.
scrambling 어순 뒤섞기: 주격명사구와 목적격명사구가 타동사를 포함한 문장으로 자주 도치된다. 이러한 어순의 변형을 문학상에서 scrambling이라고 한다.
inversion 어순도치법: 한 단어 내에서 접촉하여 있는 다른 음소와의 반전. 예) ask를 a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