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어순전략

word order strategy

word order strategy 어순전략: 그림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어가 아닌 3개 또는 4개의 상징을 연결하여 문장으로 표현할 때 한국어 어순과 일치하는 어순으로 상징을 배열하는 전략을 말한다.

어원학, 어원론

etymology

etymology 어원학, 어원론: 단어의 어원(derivation)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

어음 선별 검사

Screening Speech Articulation Test

Screening Speech Articulation Test 어음 선별 검사: 3;6~8;6세 사이 아동들의 조음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어두, 어중, 어말 등의 위치에 모든 자음과 모음들을 제시한다. 비록 단어에서 자음군의 위치가 구별되지는 않지만, 자음군을 평가한다. 자발적인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그림을 이용한다. 발달 단계에 따라 모든 음들을 제시한다.

어음 수용 역치 검사, 어음청취역치 검사

speech reception threshold test

speech reception threshold test 어음 수용 역치 검사, 어음청취역치 검사: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test 참조. 

어음 역동범위

dynamic range for speech

dynamic range for speech 어음 역동범위: dynamic range 참조.

어음 인지 역치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어음 인지 역치: 단한 단어를 말로 반복하여 제시하여 그 단어의 50% 정도를 인지할 수 있을 때의 가장 약한 강도로 그 단어들을 바르게 반복한다. 강강격(각 음절에 같은 악센트를 가진 두 개의 음절로 된 단어) 혹은 담화를 사용함으로써 확인한다.

어음 인지 역치 검사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test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RT) test 어음 인지 역치 검사: 유의미한 단어를 들려주었을 때 피검자가 검사 어음에 대하여 50%를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가장 낮은 음의 강도이다. 유의미한 어음은 주로 이음절 단어를 사용한다. 어음 수용 역치는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음절의 강강격(强强格, spondee) 단어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어음 탐지 역치

speech detection/detectability threshold(SDT)

speech detection/detectability threshold(SDT) 어음 탐지 역치: 피검자가 말의 출현을 겨우 탐지하고 그것을 말이라고 확인할 수 있는 최저 수준의 음의 강도(dB)로 정의된다. speech detection threshold와 동일함. threshold와 speech audiometry 참조.

어음이해도

speech discrimination score

speech discrimination score 어음이해도: 단음절어를 제시하고 얼마나 정확하게 인지하는지 백분율(%)로 나타내는 점수. 어음이해도(%)= 정반응 한 음절 수 / 총 음절 수 × 100. 단어인지도(word recognition score)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