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xical priming effect 어휘 점화 효과: 먼저 제시된 단어가 나중에 제시된 단어의 처리 에 영향을 주는 효과이다. 예를 들어 점화 단어로 ‘의사’를 제시하고 표적 단어로 ‘간호사’를 제시한 조건과 점화 단어로 ‘빵’을 제시하고 표적 단어로 ‘간호사’를 제시한 조건을 비교하면, 앞의 조건일 때에 어휘 판단 과제 및 음독 과제 수행이 향상 되었다. 체로 ‘의사’와 ‘간호사’ 사이에는 강한 연상 관계가 있으나, ‘빵’과 ‘간호사’ 사이에는 강한 연상 관계가 없다. 일반적으로 연상 관계가 강하면 강할수록 점화 효과도 크다.
lexicon access skill 어휘 접근 능력, 어휘 접근 기술: 말소리에 해당하는 단어를 자신 의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
word knowledge 어휘 지식: 어휘에 관한 지식. 어휘 지식은 아동의 경험이나 자전적기억, 특별한 사건에 대한 이해에 관련된 세상사 지식에 의존한다. 다문화 아동의 어휘를 진단할 때에는 낱말 지식이나 세상사 지식뿐 아니라 환경, 문화에 관한 언어적 배경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vocabulary spurt 어휘 급성장기, 어휘 폭발기: 사물의 영속성 개념의 습득 결과로 탈맥락화가 이루어지면서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양적으로 늘어나는 시기이다. vocabulary burst 참조.
vocabulary burst 어휘 폭발기: 사물의 영속성 개념의 습득 결과로 탈맥락화가 이루어지면서, 표현할 수 있는 어휘의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기. 대개 표현하는 어휘의 수가 50개 정도가 될 때 주로 나타나지만 개인 간 차이가 있다. 이 시기에는 한 달에 22~37개의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고, 매일 7~9개의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는 등 아동이 단어에 한 번만 노출되어도 그 단어를 학습할 수 있을 정도로 어휘습득이 빨라진다.
verbal fluency test 구어 유창성 검사, 어휘 풍부성 검사: 참가자들이 주어진 시간(일반적으로 60초)에 특정 범주에 속한 단어들을 가능한 한 많이 말하게 하는 검사. 범주는 의미적(동물 이름 말하기), 음운적(ㄱ자로 시작하는 단어 말하기) 등이 있다.
postlexical rules 어휘 후 규칙들: 모든 어휘규칙이 적용되고 난 후에 문장을 형성하기 위해 통사 표시에 낱말들을 삽입할 수 있다. 일단 문장이 형성되었을 때 어휘음운론의 1, 2단계 규칙들은 더 이상 적용할 수 없다. 그러나 꼭 그것은 모든 음운론적인 수정에서 낱말들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개의 낱말들의 음성은 보다 긴 발화의 토막 혹은 구에 영향을 미치면서 연결된 말소리에 적용되는 규칙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이 모형에서 그러한 규칙들은 어휘 후 규칙들이라 부른다. 모든 어휘적 규칙들 뒤에서 적용되는 늦은 규칙들이다. 어휘 규칙들과 달리, 어휘 후 규칙들은 본래 순환적인 것이 아니다.
lexicon grammar continuum 어휘-문법 연속체: 개방 부류형태(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따위의 품사 중 그 수가 많은 부류)와 폐쇄 부류형태(영어의 전치사, 접속사와 한 국어의 조사, 어미 등의 문법요소)로 부호화되는 언어 단위들 간에 질적 구분이 있긴 하지만, 이 둘 사이에 원칙적인 구분이 없다는 생각을 말한다. 다시 말해, 인지언어학 에서는 ‘어휘적’ 단위가 ‘문법적’ 단위 둘 다 고유하게 의미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는 상징적 정립의 결과이다. 이런 관점에서 머릿속 사전과 통사적 성분은 원칙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오히려 어휘적 항목과 문법적 항목은 연속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 된다.
lexical non-semantic route 어휘-비의미 경로: 의미체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철자사전 으로 접근하여 제시된 자극에 해당하는 자소 표상에 도달하는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