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언어 이전의 언어

prelinguistic language

prelinguistic language 언어 이전의 언어: 진짜 언어를 습득하기 이전에 나타나는 것으로 간주되는 행동으로서, 의미를 가진 초어(first word) 이전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한다. 예) 울음(crying), 쿠잉, 옹알이, 반향어 등. language 참조.

언어 인식

speech recognition

speech recognition 언어 인식: recognition 참조.

언어 자극

language input

language input 언어 자극: 개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하여 다양한 상황 속에서 아동에 게 언어로써 반응하여 주는 것.

언어 전 청력 손실

prelingual hearing loss

prelingual hearing loss 언어 전 청력 손실: 언어 습득 이전(즉, 생후 18개월까지)에 발생한 청력손실.

언어 접촉

language contact

language contact 언어 접촉: 모국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이 주변 지역 언어 의 발음, 문법 및 어휘들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말한다. 

언어 중심 치료

language oriented therapy

language oriented therapy 언어 중심 치료: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중재하는 수단으로 언어 사용에 초점을 둔 내면적 중재의 한 형태. 언어 사용이 개인의 생각, 감정 및 행동을 반영하고 형성하기 때문에 부정적이거나 해로운 언어 패턴을 조사하고 변경함으로써 대상자는 심리적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보다 긍정적인 사고 및 의사소통 방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정신역동치료(psychodynamic therapy), 인지행동치료(cognitive-behavioral therapy), 이야기치료(narrative therapy) 등의 방식으로 적용된다.

언어 중추

speech center

speech center 언어 중추: 상대방이 이야기하는 말이나 문자로 쓰인 글을 이해하고, 자기가 전달하고 싶은 의사를 말이나 문자로 나타내는 언어 기능을 갖는 대뇌피질의 특정부위. 언어 중추는 왼쪽 대뇌 반구의 외측구 주변. 언어의 생성과 이해를 관장하는 대뇌피질의 특정한 부위. 인간의 특징인 언어는 특정한 상대와 마음의 내용을 서로 전하기 위해 쓰는 소리이다. 상대방으로부터 들은 소리를 의미 있는 언어로 이해하고 마음에 대응하는 언어를 소리로 내는 얼개를 영위하는 곳이 언어중추이다. 대뇌반구의 표층에 있는 대뇌피질에 3개의 언어중추가 있다. ①후(後)언어중추: 청각을 맡아보는 영역을 포함하는 넓은 영역으로서, 여기에서는 들은 소리를 언어로 이해하는 작용을 한다. 감각성 언어중추 또는 베르니케중추라고도 하며, 이것이 손상되면 소리는 들리지만 언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여 대답하지 못한다. 이것을 감각 실어증이라고 한다. ②전(前)언어중추: 얼굴이나 입의 운동을 관장하는 영역의 앞쪽에 있다. 소리를 내어 말을 할 수 있도록 근육에 운동명령을 내리는 일을 하고 있다. 운동성 언어충추 또는 브로카중추라고도 하며, 이 중추가 손상되면 소리는 낼 수 있으나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운동성 실어증이라고 한다. ③상(上)언어중추: 전언어중추에 보조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라 생각되고 있다. 이들 언어중추는 대부분 왼쪽 대뇌반구에 있다. 언어라고 할 수 없는 외마디소리나 울음소리 등과 같은 본능행동이나, 정동행동(情動行動)에 수반되는 소리는 이들 행동이 수행되는 변연피질에 발성중추가 있다고 생각된다.

언어 차이

language difference

language difference 언어 차이: 언어 차이는 제 1국어의 규준을 따라야 하는 사회에서 표준 언어의 규준을 따르지 못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언어를 말한다. 방언 사용자나 제 1국어를 배우지만 잘하지 못하는 외국인에게서 언어 차이가 나타난다

언어 청각 이해력 선별검사, 청각언어이해력선별검사

Screening Test for Auditory Comprehension of Language

Screening Test for Auditory Comprehension of Language 언어 청각 이해력 선별검사, 청각언어이해력선별검사: 3~6세 수용언어장애(어휘, 구문, 형태) 선별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