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ward chaining 역행 연쇄법, 배향형 행동 연쇄 기법: 행동 연쇄의 가장 마지막 단 계를 먼저 가르친 다음, 점차 앞쪽으로 표적 행동의 전체 연쇄가 습득될 때까지 지속적 으로 가르치면서 행동 연쇄를 확립하는 방법. 예를 들면 옷을 입는 방법을 가르칠 때, 옷을 다 입히고 단추를 끼우는 것만 아이가 스스로 하도록 한다. 그 다음 상의를 입고 난 다음 팔을 빼는 것은 아이가 스스로 하도록 한다. 그 후 몸에 옷을 스스로 걸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혼자서 옷을 입을 수 있도록 한다. 아동의 수준에 맞춰 이러한 행동 연쇄의 속도와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눠서 할 수 있다.
retroactive interference 역행간섭: interference effect 참조.
regressive assimilation 역행동화: 뒤에 있는 음소의 영향을 받아 앞의 음소가 변화되는 것. assimilation 참조.
backward coarticulation 역행 동시조음, 역행동화: 먼저 나온 음소 활동이 다음에 오는 음소 활동을 신하는 식의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발음에 미치는 영향. Syn: anticipatory coarticulation. coarticulation 참조.
retroactive amnesia 역행성 건망증, 소급 건망증: 외상이나 쇼크가 일어나기 바로 전의 사건으로까지 확대되는 건망증.
paradoxical vocal fold movement 역행성 성대 운동장애: 흡기 시 성대가 외전하고 호기(발성) 시 성대가 내전하는 것과는 반대로 성대가 흡기 시 내전하고 호기 시 외전되는 것. PVFM의 주 증상은 흡기천명과 기도폐쇄감이며 흔히 천식으로 오진되기도 함. 역행성 성대 비기능(paradoxic vocal cord dysfunction)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함.
retroactive transfer 역행적 전이: 후행학습이 선행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이나 부정적인 영향.
backward masking 역행차폐, 후방차폐: 검사 음을 제시한 후, 잡음으로 검사음을 차폐 하는 현상. masking 참조
reverse breathing 역호흡, 반대호흡: 횡격막이 내려가면서 가슴도 내려가 공간이 좁아지는 호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