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증거기반 치료, 근거기반 실제

evidence-based practice

evidence-based practice 증거기반 치료, 근거기반 실제: 고려 중인 치료 옵션과 관련 하여 제대로 설계된 최근 연구들에 근거하여 각 환자의 관리와 구체적인 중재의 과정 및 치료절차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근거중심실제의 원칙을 고수하지 못하면 부적절한 치료를 권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개인의 진전을 방해할 수 있으며 시간과 돈을 낭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문가의 능력을 의심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증거기반 치 료는 ①치료가 효과가 있는지 여부와 왜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가장 유용한 연구 증거 확보, ②임상 판단 및 경험을 포함한 임상 전문 지식, 대상자에게 치료를 수행할 때 잠재적 중재의 개별 위험 및 이점 파악, ③환자의 선호 및 가치 등의 세 가지 기본 원칙에 충실하여 치료를 계획한다.

증상

condition

condition 증상: 질환으로부터 문제를 차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징이나 특징 집단을 의미(예: 뇌성마비대 진행성 뇌병증)

증상 치료

symptomatic therapy

symptomatic therapy 증상 치료: 병에 대한 명확한 이유가 없을 때, 원인보다는 나타난 증상을 없애거나 수정을 통해 치료의 효과를 얻기 위해 고안된 치료.

증상 흡인

symptomatic aspiration

symptomatic aspiration 증상 흡인: 흡인 시 기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즉 흡인 시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증상 흡인이라고 한다.

증상적 음성치료

symptomatic voice therapy

symptomatic voice therapy 증상적 음성치료: 음의높이, 크기, 호흡하는 방법 등을 조절함으로써 발성을 향상시킨다.

증상학, 증후학

symptomatology

symptomatology 증상학, 증후학: 질병의 증상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를 하는 학문.

증폭

amplification

amplification 증폭: 신호의 정도(전류, 전력, 전압)가 증가하는 과정. gain 참조.

증폭기

amplifier

amplifier 증폭기: 전기충격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전기장치. 보청기의 한 부분.

증후군

syndrome

syndrome 증후군: 특정한 질병이나 상태(condition)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두드러진 임상적 특징들의 집합. 여러 이상(비정상)이나 기형이 함께 나타나며 병원체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거나 의심되는 변인이 존재한다. 두개안면 증후군(머리와 얼굴이 포함됨)은 가족관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환자끼리 서로 비슷해 보이게 만든다. (예: 다운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