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진단 치료

diagnostic therapy

diagnostic therapy 진단 치료: diagnostic teaching 참조

진단-처방법

diagnostic-prescriptive approaches

diagnostic-prescriptive approaches 진단-처방법: 언어의 여러 측면 가운데 아동의 강 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먼저 심층적인 진단을 하고, 진단결과 에 따라 처방을 내린 뒤 체계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과정 또는 능력 모델 과 과제분석 모델이 있다. 과정 또는 능력모델은 말의 지각과 변별, 언어 해석, 언어와 말 구성 등에 관련된 모든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 치료 및 교육 활동에는 말하기, 읽기, 쓰기와 관련된 단기 기억, 장기 기억, 언어적 추리, 단어 상기, 시각 및 운동처리과정 등이 포함된다. 과제분석모델에서는 말, 언어, 의사소통에 관련된 모든 과제에 초점을 두고, 준거지향 검사에서 나타난 아동의 성취 수준을 토대로 한다. 최종 목표의 달성을 위한 하위단계를 위계적으로 분석하여 점진적으로 목표 행동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진단검사

diagnostic test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특정 문제를 확인하고, 적합한 치료적인 측정에 관계하는 단 서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 diagnostic teaching 참조.

진단기인론

diagnosis theory

diagnosis theory 진단기인론: “말더듬은 아동의 입에서가 아니라 부모의 귀에서 시작 된다.”라는 Johnson의 이론이다. 아동의 정상적인 비유창성은 아동과 가까운 환경에 있는 중요한 타인, 특히 부모, 형제, 친구 등이 말더듬이라고 진단한 후에 병리적 비유 창성 즉, 말더듬으로 진행된다는 주장이다. 아동의 정상적 비유창성에 대한 부정적 평 가가 아동을 말더듬으로 만든다는 것인데, 말더듬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일 처음 으로 제시된 이론이다. 이 진단기인론에서의 치료는 부모들의 완전무결적인 태도를 변 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사려 깊은 재평가(재오리엔테이션)를 실 시하는 것이다.

진단기인론

diagnosogenic theory

diagnosogenic theory 진단기인론: diagnosis theory 참조

진단상의

diagnostic

diagnostic 진단상의: 진단과 관련 있거나 진단을 돕는 것과 관계된

진단용 청력측정

diagnostic audiometry

diagnostic audiometry 진단용 청력측정: 청력손실의 심한 정도와 전도성 청력손실 혹 은 감각신경성 청력손실 등과 같은 청력손실의 유형을 밝히기 위한 청력검사. audiometry 참조

진단표지

diagnostic marker

diagnostic marker 진단표지: 지각적, 인지적. 또는 구어처리 메커니즘이 어떻게 관여하 고 있는가에 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진동

vibration

vibration 진동: 계속적이거나 주기적인 운동.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일직선으로 움직이는 행위. 추의 운동처럼 간단한 배음운동(harmonic motion)일 수 있다. ossillation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