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p design 집단설계: 실험에서 사용되어지는 설계. 이 설계는 통계적 분석이 단일개인에 대한 변인들의 효과를 보기 위해 시도되는 단일사례연구와 반대이다. 그러나 집단설계는 피험자들이 독립집단설계, 반복측정, 피험자대응설계 등에서 피험자 집단의 변인들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group therapy 집단치료, 그룹치료: 현재 개별치료 대신에 아주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진다. 이 치료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①환자들은 자신의 문제와 유사한 문제를 가진 다른 사람들을 알게 되어서 서로 지원을 하게 된다. ②대화 상황이 전후관계 지향치료(context-oriented therapy)를 만들 수 있어서, 집단이 다소 기능적 의사소통을 산출해 낼 수 있다. ③보다 더 집중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④전이와 유지가 더 쉽다. ⑤보다 더 자극을 주는 환경이 만들어지지만, 반응에 대한 의무가 집단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환자들은 개별치료를 받을 때 보다 덜 피로하다. ⑥환자는 사회성의 목적을 발견한다. ⑦환자는 치료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⑧잠재적으로 더 효과적인 학습상황이 만들어진다. 집단치료는 주로 말더듬인이나 실어증자 및 운동구어장애자와 음운장애 아동들에게 이용된다.
central tendency 집중 경향치, 집중 경향: 실험에서 얻어낸 점수의 분포를 알아내는 방 법으로서, 평균치, 최빈도, 중앙치 등과 같은 3가지 측정 방법들이 있다. 만약 모든 측 정치가 같다면, 즉 평균치=최빈도=중앙치라면, 이것을 대칭 분포 또는 정상 분포라고 하고, 그래프에서 대칭으로 나타난다. 만약 각 점수들이 다르다면, 그것을 비대칭이라 고 한다.
focused attention 집중 주의력, 초점적 주의: 특정 대상의 한 영역에 집중적으로 주의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청각, 시각, 촉각 자극이 발생하면 그 자극 쪽으로 향하는 것이다.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peripheral perception 참조.
mass practice 집중적 연습: 회기 간의 공백을 최소화하거나 한 회기 내에서 한 세트의 과제를 모두 수행한 후에 다시 한 세트의 과제를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focused stimulation 집중적 자극: 치료사가 구조화된 상황에서 의미 있는 의사소통 맥락으로 목표언어를 여러 번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것.
auditory bombardment 집중적 청각자극법: 음운치료에서 목표 음소를 약간 증폭시킨 수준에서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centralization 집중화, 단일대상 주의집중: 어떤 자극에 대한 아동의 제한된 지각을 가지 는 측면; 자극의 모든 면을 탐색할 수 없고, 한 사건에 대한 단지 피상적인 면만을 동 화시킨 결과로 시각적 조사를 적절히 하지 못함. 하나 이상의 현저한 특징에 대해 동시 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함. 사람의 지적발달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단계. period Ⅱ,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참조
ensemble average 집합 평균: 특정한 시간, 공간에서 소리, 진동, 온도 등의 평균값을 측정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