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ecutive attention 집행 주의력: 관련된 정보로 처리를 제한하려는 두뇌의 시도에 의한 메커니즘
executive function 집행기능: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제어하고 조절하는 능력이다. 행동 을 시작하고 멈추는 능력, 행동을 추적하고 관찰하고 변환하는 능력, 새로운 요구와 상 황에 직면해 미래의 행동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symptom 징후, 증상: 개인이 경험하는 구조, 기능 혹은 감각 등의 어떠한 변화나 비정상적이거나 질병이나 장애의 표시. sign 참조.
creaky voice 짜내기 소리, 크리키 음성, 극저음성: 너무 낮은 주파수에서 성대가 진동 할 때 들리는 쥐어짜는 듯한 음성으로 대개 남성에게 나타난다. 음성 프라이(vocal fry)라고도 한다. 피열연골들이 단단하게 닫힌 후두화된 음성(laryngealised voice)이 라고 한다.
paired syllable 짝 음절: 짹짹, 뽀뽀, 잼잼 등과 같은 반복적인 음절.
partner reading 짝과 함께 읽기: 또래 교수를 활용한 읽기 프로그램의 한 유형으로 읽기 유창성이 좋은 또래 친구와 짝을 이루어 소리 내어 반복 읽기를 하는 교수방법이다. 짝과 함께 읽기에서는 읽기유창성이 좋은 짝을 정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paired associated learning 짝연합 학습, 자극-반응 연합학습: 일련의 단어짝을 사용하는 교수법으로 첫 번째 짝은 자극이고, 두 번째 짝은 반응으로 사용된다. 피험자가 자극단어를 볼 때, 그는 연관된 반응단어로 반응을 시도한다. 예를 들면 공-콩, 탈-칼. minimal pair 참조.
paired stimuli approach 짝자극 기법: 낱말수준에서 시작하여 문장과 대화수준으로 진행시키는 매우 구조화된 치료기법으로 열쇠낱말 기법이라고도 한다. 여러 음소에서 오류를 보이는 아동에게 효과적이며 핵심단어와 훈련단어로 짝을 이뤄 연습한다. 이 기법은 강화 방법을 중요하게 여긴다.
virgules 짧은 사선: 음소를 표기하기 위한 사선(/ /). phonemic transcription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