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청각 통합훈련

auditory integration training

auditory integration training 청각 통합훈련: 청각의 예민성을 각 주파수별로 측정하여 특정 주파수를 가진 음을 선택적으로 무시 또는 반응하는 것을 밝혀내어서 청각자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음을 결정하여 훈련.

청각 국재화

auditory localization

auditory localization 청각 국재화: 청각 정보 외에 어떤 음원의 위치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 localization 참조.

청각 기억 기간

auditory memory span

auditory memory span 청각 기억 기간: memory span 참조.

청각 연속기억 능력

auditory memory-sequential memory

auditory memory-sequential memory 청각 연속기억 능력: 길이 혹은 수가 다른 청각 적 자극들을 정확한 순서로 저장하고 회상하는 능력

청각법

auditory method

auditory method 청각법: aural rehabilitation 참조. multisensory approach 참조.

청각 중간 반응 청력측정

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AMLR) audiometry

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AMLR) audiometry 청각 중간 반응 청력측정: 청 각자극 발생 후에 10~80ms까지 일련의 파형이 일어난다. 이것은 뇌간 이상의 시상피질 청각로(thalamocortical auditory pathway)까지 청각 시스템의 측정을 확하며, 나이 든 아동들과 성인들에게서 청각민감도(auditory sensitivity)에 한 주파수-특정 추정 (frequency-specific estimations)을 제공한다. audiometry 참조.

청각 양식

auditory modality

auditory modality 청각 양식: 소리-상징 관계를 관련시키기 위해서, 청각의 예민성, 경 계, 식별, 기억, 연속시킴(sequencing), 청각-구두언어 능력 등을 사용하는 것.

청각적 이동 창

auditory moving window

auditory moving window 청각적 이동 창: 이 방법은 심리언어학적 패러다임으로 미시 간주립학교의 Fernanda Ferreira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문장 처리 부하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데 사용된 이 문장 처리 부하는 패러다임 내 반응시간을 아 날로그식으로 평가하며 적어도 단어 빈도 및 정원경로 효과(garden path effect)를 민 감하게 처리한다. 이 방법은 시각적 추적 패러다임(eye tracking paradigm)과 유사하고 이해력에 한 빈도 효과를 감지 할 수 있어 실어증 환자의 구문 처리 과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청각성 무시증

auditory neglect

auditory neglect 청각성 무시증: 청각적 자극을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증상. 환자 의 오른쪽 혹은 왼쪽에서 손가락으로 ‘딱’ 소리를 내어 검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