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tory nerve 청신경: 내이(속귀)에 분포되어 있는 순감각신경. 청평형신경, 제8뇌신 경이라고도 한다. 내이신경은 연수의 맨 위쪽 뇌간에서 갈라져 나와 안면신경과 함께 내이도로 들어가서 그 막다른 곳에서 전정신경과 와우신경으로 나누어진다. 전정신경은 내이도저에서 전정신경절을 만든 다음, 내이의 반고리관과 전정에 분포하여 평형감각을 전도한다. 와우신경은 와우의 골축(骨軸) 속으로 들어가 거기서 나선형 신경절을 만든 다음 달팽이관의 코르티기관에 분포되어 청각을 뇌에 전달한다. 뇌신경 Ⅷ 참조.
auditory nervous system 청각 신경계: 소리 자극이 처리되는 감각 기관 신경계의 여러 단계를 묶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청각 정보는 전정와우신경에서 연수의 와우핵과 상올 리브복합체, 배측중뇌의 하구라는 중간 기착지를 거쳐 하구의 뉴런들이 내측슬상핵으로 투사된 다음 측두엽의 청각피질로 간다. 와우핵에서 청신경은 연수의 좌우 양측을 따라 상행하므로 청각 경로는 양측성이다.
auditory neuropathy 청신경병증: 정상적으로 유입된 소리가 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문제를 보이는 질환. 청력손실 정도는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언어인식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으나, 내유모세포의 손상, 내유모세포와 청각신경들과의 연결 및 신경계 자체의 결함으로 보인다.
Auditory Number Test: Erber(1980)가 고안하여 실시하였던 검사로 실시하기 간편하고 나이가 어린 고도나 심도의 청각장애 아동의 청각적 지각 수준을 알아보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검사.
auditory oral approach 청각 구두 접근: 청각 장애인을 상으로 한 훈련 방법 중 하 나로 잔존청력과 독화의 사용을 강조한다
auditory organ 청각기관: 귀로 받은 음파가 뇌로 전해져서 소리를 느끼는 감각을 일으 키는 기관. 곧 외이, 중이, 내이의 총칭.
auditory ossicles 이소골: 고실에 있는 작은 뼈 3개로 모두 관절로 이어져 있다. 바깥쪽 부터 순서로 추골, 침골, 등골이 있다.
auditory pattern 청각 형태: 특정한 언어의 규칙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서, 음절과 단어 에서 언어음의 순서
auditory perception 청지각, 청각적 지각: 감지된 소리신호는 좀 더 세한 분석과정을 거쳐 세부적인 특징에 한 처리가 이루어져 청각정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처리과정을 청각적 지각이라고 한다. 귀를 통해 받아들인 감각자료를 판별, 해 석, 조직화하는 것이다. perception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