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청각적 지각

auditory perception

auditory perception 청지각, 청각적 지각: 감지된 소리신호는 좀 더 세한 분석과정을 거쳐 세부적인 특징에 한 처리가 이루어져 청각정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처리과정을 청각적 지각이라고 한다. 귀를 통해 받아들인 감각자료를 판별, 해 석, 조직화하는 것이다. perception 참조

청지각 결손

auditory perception deficits

auditory perception deficits 청지각 결손: 좌반구의 BA22가 손상되면 말소리에 한 청 지각 결손이 생기는데, 예컨 /카/와 /가/의 미세한 차이를 알지 못한다. 청지각이 원 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언어이해력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특히 우반구의 BA22가 손상되면 음악의 멜로디를 잘 지각하지 못하는 감각실음증, 말의 운율을 잘 파악하지 못하는 감각실율증, 환경음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비구어성 청각실인증을 보일 수 있 다. 또한 양반구의 청각연합영역이 손상되면 범발성 청각실인증을 유발할 수 있다.

청각 음성학

auditory phonetics

auditory phonetics 청각 음성학, 청취 음성학: 사람이 음을 지각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이 연구의 주요 한 두 개 요소는 음도와 강도이다. 음도는 청자가 높고 낮은 음도 로 낸 음 사이에 차이를 구별해 내는 방법을 기술한다. 음도는 음향학적 특징으로 주파 수와 동의어이다. 강도는 청자가 메시지를 듣는데 요구되는 화자의 음성에서 음압의 정 도를 기술한다. 강도는 음향학적 특징으로는 소리의 크기와 동의어이다. 음은 공기 입자 가 서로 부딪히는 운동에 의해서 우리의 귀에 도달한다. 입자들이 모여 있는 상태를 압 축이라 하고, 입자들이 넓게 퍼져있는 것을 희박이라고 한다. 압축과 희박은 사인곡선의 형태에서 볼 때 명백하게 보여질 수 있는데, 사인 곡선에서 압축은 가장 위쪽 +값이고 반면에 희박은 가장 아래의 -값이다. 그러나 압축과 희박은 파형이 사인곡선의 형성으로 부터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복합파형에서 발견될 수 있다. 정상적인 기압은 평형으로 알려진 수평축으로 나타낸다. 음파는 음원으로부터 주위에 퍼진다. phonetics 참조.

청취 음성학

auditory phonetics

auditory phonetics 청각 음성학, 청취 음성학: 사람이 음을 지각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이 연구의 주요 한 두 개 요소는 음도와 강도이다. 음도는 청자가 높고 낮은 음도 로 낸 음 사이에 차이를 구별해 내는 방법을 기술한다. 음도는 음향학적 특징으로 주파 수와 동의어이다. 강도는 청자가 메시지를 듣는데 요구되는 화자의 음성에서 음압의 정 도를 기술한다. 강도는 음향학적 특징으로는 소리의 크기와 동의어이다. 음은 공기 입자 가 서로 부딪히는 운동에 의해서 우리의 귀에 도달한다. 입자들이 모여 있는 상태를 압 축이라 하고, 입자들이 넓게 퍼져있는 것을 희박이라고 한다. 압축과 희박은 사인곡선의 형태에서 볼 때 명백하게 보여질 수 있는데, 사인 곡선에서 압축은 가장 위쪽 +값이고 반면에 희박은 가장 아래의 -값이다. 그러나 압축과 희박은 파형이 사인곡선의 형성으로 부터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복합파형에서 발견될 수 있다. 정상적인 기압은 평형으로 알려진 수평축으로 나타낸다. 음파는 음원으로부터 주위에 퍼진다. phonetics 참조.

청각판

auditory placode

auditory placode 청각판: 태생 초기에 후뇌의 옆을 따라 중간부에 외배엽이 비후하여 생긴 판으로 여기서 내이가 발생된다. 주위에 퍼진다. phonetics 참조.

청각 지시 검사

auditory pointing test

auditory pointing test 청각 지시 검사: 유치원생~5학년 단기기억기간과 연속기억력을 평가하기 위해 청각자극과 시운동 반응을 짝짓는 자극 간 검사.

청각 프로세스

auditory processes

auditory processes 청각 프로세스, 청각 처리과정: 변별, 위치, 청각적 주의집중, 선 택적 듣기 능력(auditory figure-ground), 청각적 폐쇄(auditory closure), 청각적 변 별, 청각적 조합, 청각적 분석, 청각적 연합, 청각연속기억력과 같은 특별한 능력. 어 떤 저자들은 양이 통합력, 양이 분리력, 음향학적 신호를 빠르게 해석하는 반응력 등을 포함한다. Syn: central auditory skills, central auditory function, central auditory perception, central auditory processes.

청각 처리

auditory processing

auditory processing 청각 처리: 들은 소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통합하고 분석하는 것을 말하며, 뇌에서 수행되는 중추 청각처리 뿐만 아니라 청각정보가 처리되는 청각 경로의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참조.  용 어청각 처리과정청각적 분석단어 내에 있는 음소와 형태소를 인지하는 능력청각적 연합음원을 인지하는 능력청각적 주의집중력청각신호, 특수한 구어, 연장된 시간에 주의집중하는 능력청각적 합성개별음을 단어로 통합하는 능력청각적 폐쇄어떤 일부분을 듣지 못하였을 때 전체 단어나 메시지를 이해하는 능력청각적 변별음향학적으로 유사한 단어들과 음들을 변별하는 능력; 주파수, 지속시간, 강도가 다른 음들을 식별하는 능력청각적 도-지고음 상황에서 주 화자의 말을 인지하는 능력청각연속기억 능력길이나 수가 다른 청각자극들을 정확한 순서로 저장하고 회상하는 능력양이 통합두 개의 다른 음이 입력된 것을 한 개의 음으로 듣는 능력양이 분리양쪽 귀에 동시에 다른 자극을 제시할 때 반대편 귀에 제시되는 자극을 무시하고 한쪽 귀에 제시되는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청각위치 결정능력청각적 정보로 음원의 위치를 알아내는 능력 

청각 프로세스 장애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청각 프로세스 장애, 청각 처리 장애: 1. 청력 및 지능 은 정상범위 내에 있지만, 주의집중, 식별, 인지, 청각적 정보의 이해 등의 능력에 손 상. 소음이나 청각적 환경이 좋지 못한 곳에서는 발음이 더 많이 왜곡된다. 청각적 처 리 능력은 언어와 병행하여 발달하고, 청각 처리 장애 아동은 수용 및 또는 표현 언어 장애를 가지게 된다. 다른 학습장애나 주의집중장애와 유사하여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 이 어렵다. 증상으로 주의집중, 듣기 능력, 복잡한 지시 따르기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반응시간이 느려지며, 언어 능력과 읽고 쓰는 능력에 결함이 생긴다. 2. 말초 청각 감 각이 정상이더라도, 개인의 청각 처리 능력에서 어떠한 손상을 입으면, 청력을 통하여 학습하는데 방해를 받는 결과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