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청각 처리 장애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청각 프로세스 장애, 청각 처리 장애: 1. 청력 및 지능 은 정상범위 내에 있지만, 주의집중, 식별, 인지, 청각적 정보의 이해 등의 능력에 손 상. 소음이나 청각적 환경이 좋지 못한 곳에서는 발음이 더 많이 왜곡된다. 청각적 처 리 능력은 언어와 병행하여 발달하고, 청각 처리 장애 아동은 수용 및 또는 표현 언어 장애를 가지게 된다. 다른 학습장애나 주의집중장애와 유사하여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 이 어렵다. 증상으로 주의집중, 듣기 능력, 복잡한 지시 따르기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반응시간이 느려지며, 언어 능력과 읽고 쓰는 능력에 결함이 생긴다. 2. 말초 청각 감 각이 정상이더라도, 개인의 청각 처리 능력에서 어떠한 손상을 입으면, 청력을 통하여 학습하는데 방해를 받는 결과가 된다.

청각 수용력

auditory reception

auditory reception 청각 수용력: 청각적인 상징으로부터 의미를 깨닫는 능력을 말한다. 즉 소리를 듣고 그 의미를 알며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청각 반사

auditory reflex

auditory reflex 청각 반사: acoustic reflex 참조.

청각의 선택적 듣기 능력

auditory selective listening

auditory selective listening 청각의 선택적 듣기 능력: 청각 도-지 식별.

청각

auditory sensation

auditory sensation 청각: 음향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감각인 청각에 의해 음향을 매개로 하여 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생기는 일을 인지할 수가 있다. 음향은 공기의 소파 이고 외이․중이는 이 음파를 내이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음파는 외이, 중이를 거쳐서 내이에 전달되며, 이것을 기도 전도라고 한다. 이에 해 공기의 진동이 두개골을 거쳐 직접 내이에 전해지는 것을 골도 전도라고 한다. 청각의 수용기는 내이의 달팽이관에 있는 청각 신경세포이다.

청각적 연속

auditory sequencing

auditory sequencing 청각적 연속: 음, 음절, 단어 등의 적당한 순서를 판단하는 능력 으로, 구어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 청각능력으로 고려된다.

청각 기능

auditory skills

auditory skills 청각 기능: 청각적 처리

청각 구어 인지

auditory speech perception

auditory speech perception 청각 구어 인지, 청각 어음 지각: 청각정보를 수용하기 위해 학습된 기능. 아동이 학습하여야 하는 청각 구어인지 기술의 다양한 부분은 다음 과 같다. ①음의 존재의 자각. ②음의 위치(localization)에 따라서 아동은 음이 어디 에서 나는지를 알고, 그 음을 산출하는 사람을 볼 뿐만 아니라 언어적인 실마리를 알아 차릴 수 있게 된다. ③배경 소음을 무시하고, 자신이 지각하고 있는 음에만 오로지 자 기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④산출된 음소의 음향적인 음 특징으로부터 언어적 정보를 이 끌어내기. ⑤기억조직의 이용. 특히 화자가 산출한 발화를 보유하고 프로세스 시키기 위한 단기 기억을 할 때. 그러나 아동이 이러한 시기 동안에 청력 손실을 겪는다면, 다 음과 같은 기능을 습득하기가 더욱 어렵다. ①전도성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은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청기를 필요로 하거나 그와 같은 정보를 받아들이 기 위해 화자가 더 큰 소리로 말해 달라고 요구한다. ②감음성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 은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음 식별에서도 문제가 있다. ③신경성/중 추성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은 자기가 받은 정보에서 의미를 얻는데 문제가 있다. ④혼 합성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은 ①~③의 요소를 가질 것이다.

청각 어음 지각

auditory speech perception

auditory speech perception 청각 구어 인지, 청각 어음 지각: 청각정보를 수용하기 위해 학습된 기능. 아동이 학습하여야 하는 청각 구어인지 기술의 다양한 부분은 다음 과 같다. ①음의 존재의 자각. ②음의 위치(localization)에 따라서 아동은 음이 어디 에서 나는지를 알고, 그 음을 산출하는 사람을 볼 뿐만 아니라 언어적인 실마리를 알아 차릴 수 있게 된다. ③배경 소음을 무시하고, 자신이 지각하고 있는 음에만 오로지 자 기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④산출된 음소의 음향적인 음 특징으로부터 언어적 정보를 이 끌어내기. ⑤기억조직의 이용. 특히 화자가 산출한 발화를 보유하고 프로세스 시키기 위한 단기 기억을 할 때. 그러나 아동이 이러한 시기 동안에 청력 손실을 겪는다면, 다 음과 같은 기능을 습득하기가 더욱 어렵다. ①전도성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은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청기를 필요로 하거나 그와 같은 정보를 받아들이 기 위해 화자가 더 큰 소리로 말해 달라고 요구한다. ②감음성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 은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음 식별에서도 문제가 있다. ③신경성/중 추성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은 자기가 받은 정보에서 의미를 얻는데 문제가 있다. ④혼 합성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은 ①~③의 요소를 가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