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tory training 귀 훈련, 청능 훈련: 청각손상이 있는 사람이 증폭된 소리를 듣고 소 리의 의미를 인식하며 또한 다른 소리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 과정. 청각장애인 에게 잔존청력을 최한 활용할 수 있도록 듣기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청각 장애인이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음향적 단서들을 활용하는 것을 배우게 하는 절 차로서 잔존청력을 가장 잘 사용하는 것을 개발시키도록 고안되었다. 듣기 기술이 불완 전한 환자는 음도 식별과 음색 기억 증진, 좋은 음성과 나쁜 음성을 듣기 위한 학습이 필요하다. 잘못된 음성 습관을 발견하고 청각체계로 스스로 듣고 최적의 음성 습관으로 치하는데, 이러한 활동을 위한 절차로는 ①환자의 음도 식별 기초선 측정: 청능 훈련 카세트(전자 음향 합성기 또는 목소리로 만든 음도 식별 쌍), 임상가 자신이 녹음, Seashore의 음도 식별 하위 검사, 피아노, pitch 파이프(들려준 두 자극이 같은지 다른 지를 묻는다. 환자가 3칸 간격 이상(C4와 F4 간격)을 식별할 수 없으면 심한 것으로 식 별 훈련이 필요하다.) ②음도 식별 훈련: 환자가 할 수 있는 기초선에서 시작하고 자극 은 피아노, pitch 파이프 음성을 사용하고 세 가지 자극을 혼합하면 치료의 효과는 높 다. 하나의 음도 간격을 식별할 때까지 훈련. ③기억 치료: 현 상태에서 시작한다. 두 가지 연속된 음조 기억: 두 쌍의 두 연속음 중 어떤 쌍의 음조에 변화가 있는지 판단. ④자신의 최상의 음성과 나쁜 음성 식별; 환자의 음성 산출 녹음- 좋은 음성 뒤에 나쁜 음성 녹음하여 식별, 비슷한 장애를 가진 다른 사람의 음성 녹음을 듣고 식별(환자가 자신의 좋은 음성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을 일괄되게 나타낼 수 있게 되면 스스로 그 음 성을 산출할 수 있든 없든 간에 청능 훈련을 강조할 필요가 없다.).
auditory training 귀 훈련, 청능 훈련: 청각손상이 있는 사람이 증폭된 소리를 듣고 소 리의 의미를 인식하며 또한 다른 소리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 과정. 청각장애인 에게 잔존청력을 최한 활용할 수 있도록 듣기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청각 장애인이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음향적 단서들을 활용하는 것을 배우게 하는 절 차로서 잔존청력을 가장 잘 사용하는 것을 개발시키도록 고안되었다. 듣기 기술이 불완 전한 환자는 음도 식별과 음색 기억 증진, 좋은 음성과 나쁜 음성을 듣기 위한 학습이 필요하다. 잘못된 음성 습관을 발견하고 청각체계로 스스로 듣고 최적의 음성 습관으로 치하는데, 이러한 활동을 위한 절차로는 ①환자의 음도 식별 기초선 측정: 청능 훈련 카세트(전자 음향 합성기 또는 목소리로 만든 음도 식별 쌍), 임상가 자신이 녹음, Seashore의 음도 식별 하위 검사, 피아노, pitch 파이프(들려준 두 자극이 같은지 다른 지를 묻는다. 환자가 3칸 간격 이상(C4와 F4 간격)을 식별할 수 없으면 심한 것으로 식 별 훈련이 필요하다.) ②음도 식별 훈련: 환자가 할 수 있는 기초선에서 시작하고 자극 은 피아노, pitch 파이프 음성을 사용하고 세 가지 자극을 혼합하면 치료의 효과는 높 다. 하나의 음도 간격을 식별할 때까지 훈련. ③기억 치료: 현 상태에서 시작한다. 두 가지 연속된 음조 기억: 두 쌍의 두 연속음 중 어떤 쌍의 음조에 변화가 있는지 판단. ④자신의 최상의 음성과 나쁜 음성 식별; 환자의 음성 산출 녹음- 좋은 음성 뒤에 나쁜 음성 녹음하여 식별, 비슷한 장애를 가진 다른 사람의 음성 녹음을 듣고 식별(환자가 자신의 좋은 음성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을 일괄되게 나타낼 수 있게 되면 스스로 그 음 성을 산출할 수 있든 없든 간에 청능 훈련을 강조할 필요가 없다.).
auditory training program 청능 훈련 프로그램: 처음 혹은 변경된 소리 증폭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하는 난청 아동 및 성인을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
auditory training units 청각훈련기: 청각장애인에게 보청기 사용을 훈련시키기 위해 특 별하게 고안된 보청기. 화자의 음성이 가까이에 있는 마이크로폰으로 들어가서, 증폭되 어지고, 리시버를 통해서 청자에게로 전달된다. 이 시스템은 신호음과 소음의 비율 (signal to noise ratio)을 높음으로써 고성능을 제공한다.
auditory tube 이관: 유스타키오관
auditory verbal agnosia 청각 구어 실인증: 단어만을 말하면 알지 못하지만 단어를 지 칭하는 상을 보면 그 단어를 지각할 수 있는 실인증. 사물이 없을 때 사물 이름을 말 하면 구어의 뜻을 인식하기 어려움. Wernike's aphasia 참조
auditory verbal approach 청각 구어 접근: 청각장애인을 상으로 한 훈련 방법 중 하 나로 시각 보다는 잔존청력의 활용을 더 강조함.
auditory verbal memory span 청각 언어 기억 폭: 소리를 듣고 그 소리를 기억하는 기간으로 청각기억기간이 짧다는 것은 소리는 들을 수 있지만 그 소리를 기억하기가 어려운 경우, 즉 소리를 듣자마자 그 소리를 너무 빨리 잊어버리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 다. 청각기억기간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연결된 숫자, 어음, 무의미 음절, 점진적으로 길이를 더 길게 한 문장 등을 사용하여 1초에 1개씩 제시하여 그 숫자나 항목을 반복하 거나 쓰게 한다.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청지각적 평가: 화자나 청자가 음성에 하여 주관적 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개인의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정상 음성이 어떤 소리가 되어야 한다는 예상치에 따라 영향을 받고, 문화적 요인, 지리적인 위치, 연령, 청자와 화자의 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