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tory-verbal approach 청각-구어 접근법: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청력, 보장구 착 용, 지속적인 평가를 강조한다. 잔존청력을 최한 활용하기 위해 시각적 단서 독화, 과도한 조음과 반복을 자제한다.
Auditory-Visual Single-Word Picture Vocabulary Test-Adolescent(AVSWPVT-A) 청각-시각, 단단어 그림어휘검사: AVSWPVT-A는 청년기의 단단어 그림 어휘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만들어졌으며, 12~17세 사이의 학생에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검사는 실시하기 쉽고 채점하기 용이한 청각-시각 언어검사로서 략 10~15분 이내에 실시할 수 있고, 채점은 실시 시간의 반정도면 된다. 집단 혹은 개별적으로 또는 자기 혼자서 도 실시할 수 있다. 그림들로는 기하학적 도형, 사람, 동물, 추상적 도안, 사물, 표정, 행동 동사, 분류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그 그림들은 시각적으로 매력이 있고, 너무 세 하지 않으며, 부차적인 자극들을 주어도 혼동을 주지 않으며, 흰 바탕 위에 굵고 뚜 렷한 검은 선으로 선명하다. 이 그림들은 한 페이지에 4개의 그림으로 배열되어 있고, 피검자가 오른쪽에서 왼쪽, 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로 그림을 볼 수 있다. 자 극 단어는 굵은 글자로 각 페이지에 인쇄되어 있다. 75페이지로 구성된 검사판은 점차 적으로 난이도에 따라 어려운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이 그림들은 학생들의 학년과 연 령 수준에서 잘 아는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들로 되어 있다.
auditory-vocal association 청각-음성 연합: 청각적인 자극과 연관된 것을 의미 있는 구어로 말해야 하며, 음성표현을 위해 청각자극 이해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Auditory Processes 표 참조. association 참조
auditory-vocal automaticity 청각-음성 자동성: 과거의 경험을 통해 미래의 언어학적 사건을 예견하는 능력으로서, 언어에 한 자동적이고 정확한 반응을 의미한다. 이 능 력에 결함이 있을 경우 문법 장애, 소수 단어의 부정확한 사용, 어순의 혼잡, 언어처리 기술의 느림 등이 나타나게 된다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보완·대체 의사소통: 말과 언어 의 표현 및 이해에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사람들에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 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촉진하도록 말을 보완하거나(augmentative), 체적인 (alternative) 여러 방법과 도움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체계는 제스처, 사진, 문자 등의 상징과 의사소통판, 기계 등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보조도구 및 의사소통 기 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정한 방식이나 계획까지 포함하고 있다. 즉 구어를 이용한 의 사소통을 보완하거나 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비구어적 의사소통 방 법이다.
augmentative communication system 보완의사소통 시스템: 개인의 통합적 보완의사 소통 시스템. 이 시스템에는 정보전달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사소통 기법, 전달되는 정 보를 통해서 표상적인 의미를 가지는 심볼 세트 시스템, 메시지가 전달되고 받아들여지 기 위해서 필요한 개인 간의 교환인 의사소통적 상호작용 등이 포함된다.
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 현실에 3차원 가상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 혼합현실(mixed reality)이라고도 한다. 비행기 제조사인 ‘보잉’ 사에서 1990년경 비행기 조립 과정에 가상의 이미지를 첨가하면서 증강현실이 처음으로 세상에 소개됐다. 최근 언어치료 분야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주제로, 현재 증강 현실을 적용한 어휘카드 등이 언어치료 교구로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 적용은 2차원적인 그림, 사진을 넘어 3차원으로 대상을 감각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aura 전조: 간질발작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주관적인 감각
aural atresia 외이도 폐색증: 외이도가 선천적으로 막혀 있는 질환으로 전도성 난청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atresia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