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평균 기본 주파수

average fundamental frequency

average fundamental frequency 평균 기본 주파수: 1초에 평균적인 성 진동 횟수를 평가하는 변인이다. 일반적으로 정상 성인 남성은 100~130Hz이며, 여성은 190~230Hz이다.

혐오치료

aversion therapy

aversion therapy 혐오치료: 기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강화물에 혐오적인 사건을 짝 지어 반복해 줌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강화자의 강화력을 떨어뜨리게 하는 것이다. 부 적절한 반응을 유발하는 조건자극을 혐오적 반응을 일으키는 무조건 자극과 짝지어 부 적절한 반응을 감소시키는 치료법이다.

혐오 치료

aversive therapy

aversive therapy 혐오 치료: aversion therapy 참조.

회피

avoidance

avoidance 회피: 위험에 접근하고 있지 않은데 위험이 생길 것이라는 두려움으로 달아나 는 것은 확인할 수 없는 자극물(상없음)로부터 피하는 행동을 회피라고 하며, 피할 상물이 있으면 도피(escape)가 된다. 말더듬이 예견되는 단어(피해야 할 상 있음) 를 말하지 않는 것은 도피 행동이며, 도피하기 위해서 동의어를 말하기 또는 둘러말하 기 등을 사용한다. 도피나 회피에 의해 일시적으로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으나, 완전한 방위수단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외부환경에서 오는 위험에 해 여러 가지 도피수단이 있으나, 내면의 심리적 갈등과 불안의 위험에 해서는 적절한 도피장소가 없기 때문에 종종 도피장소로서 질병이 선택되어「질병에의 도피」가 생긴다. 말더듬에서, 말더듬인 이 말하는 상황에서 도피하고자 사용한 방책(들). 연기, 재형성(reformulations), 동의 어로 돌려말하기(circumlocutions) 등등을 포함한다. escape 참조.

회피행동

avoidance behaviors

avoidance behaviors 회피행동: 말을 더듬을 가능성이 있는 말소리, 낱말, 상, 상황 등을 피하고 모면하려는 행동. 이 행동은 예상되는 혐오적 사건을 회피함으로써 부적강 화되는 것이다. 즉, 회피 상황에서 경고 자극은 혐오 자극의 출현을 예고하는 것인데, 사람들은 경고 자극이 나타나면 회피 행동을 하게 된다. 한편, 회피 행동은 도피 행동 (escape behavior)과 구분될 필요가 있는데, 도피 행동에서의 행동 발생은 이미 존재하 고 있는 혐오 자극의 종결을 가져온다

회피 방책

avoidance devices

avoidance devices 회피 방책: 현재 혐오 자극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미리 특정 행동을 함으로써 혐오 자극이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하는 방법이다.

회피성 인격 장애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회피성 인격 장애: 거절에 대해 매우 예민하고, 그로 인해 사회적으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인격장애. 자신을 거절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드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인간관계를 맺고, 거부나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이 커서 오히려 혼자 지내려고 하지만, 내적으로는 친밀한 관계를 원하는 특징이 있다.

무의욕증

avolition

avolition 무의욕증: 동기부여가 부족하거나 목표 지향적인 활동을 시작하고 지속할 수 없는 상태.

자각

awareness

awareness 인식, 자각: 상에 해 사고하는 과정 및 그 결과를 모두 뜻한다. 지식이 사고의 결과로 획득한 성과를 가리키는데 반해, 인식은 상을 감각, 지각하고 사고하 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이란 사물, 사건, 개념 등 내적 또는 외적인 어떤 것 이든 될 수 있다. 인식 활동은 이러한 상에 해 지식 획득을 넘어 중요도 및 가치 판단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