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문맥 의존 가설

context dependent hypothesize

context dependent hypothesize 문맥 의존 가설: 문맥이 은유와 관련이 있을 때 은유 적 의미의 해석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문맥 일반화

context generalization

context generalization 문맥 일반화: 특정 말소리의 정확한 산출을 모든 음성 문맥(다양 한 모음 환경)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가방’에서 ‘ㄱ’를 가르쳤더니,‘기 차’의 ‘ㄱ'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을 때 문맥 일반화가 나타났다고 한다

음맥민감유성음화

context sensitive voicing

context sensitive voicing 음맥민감유성음화: 방해음(obstruents)을 유성성으로 변화시 키는 것. 유성성 방해음이 단어 어두와 어중 위치에서 무성성으로 바뀌는 반면에, 무성 성 방해음이 단어 어말에서 유성성으로 바뀐다. 'fat' [væd], 'sad' [zæt], 'cat' [gæd], 'bid' [pɪt]. phonological processes 참조.

문맥 활용 접근법

context utilization approaches

context utilization approaches 문맥 활용 접근법: 이 접근법은 말소리가 독립음(음소) 보다는 음절을 기초로 한 문맥에서 이루어지며 어떤 음성적인 문맥들은 정확한 음소 사 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인식을 기초로 한다. 예) ‘앙가’를 발음하게 함으로써 어중 종성 /ㅇ/를 이용하여 어중 /ㄱ/를 정확하게 발음하도록 촉진하는 것

맥락지능

contextual intelligence

contextual intelligence 맥락지능: 실생활에서 자신이 처한 상황을 잘 해결해 나갈 수 있 는 능력을 의미한다

문맥적 촉진

contextual prompting

contextual prompting 문맥적 촉진: 인접음이 특정 문맥에서는 그 음을 발음하기 쉽도록 하는데, 이러한 것을 문맥적 촉진이라고 한다.

문맥 검사

contextual testing

contextual testing 문맥 검사: 오조음의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특정한 오류음이 바 르게 발음되는 음소의 전후 관계를 알기 위하여 실시한다. 치료를 시작할 때, 전후 관 계가 포함된 샘플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맥락적 치료

contextual therapy

contextual therapy 맥락적 치료: 보스조르메니 내지에 의해서 시도된 가족치료를 말한 다. 이 치료는 정신분석, 실존철학, 체계이론, 윤리학의 지식을 통합하는 이론에 근거 하고 있다. 개인이나 가족의 장애는 주고받는 관계가 불균형을 보이는 결과라고 생각하 였다. 따라서 이 치료에서는 문제의 내용 그 자체보다도 그것을 문제로 규정하고 있는 맥락에 관심을 가지고 치료의 초점을 거기에 맞춘다. 맥락에는 개인의 특성, 대인관계, 세대 간의 유형, 그리고 개인이 가지는 가차체계와 같은 것이 포함된다. 치료는 서로의 이해와 신뢰에 의하여 가족끼리 대화를 촉진하여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비지시적 방법 에 의해 이루어진다. 맥락적 치료에서 치료자는 여러 방면의 불공평에 주목하여 가족끼 리의 윤리적인 관점에 서도록 부추긴다. 가족 간에 보이는 애착의 기본이 되고 있는 충 성심을 가시화하는 것이 치료자의 역할이다. 특히, 치료자가 배려해야만 하는 맥락은 다세대적인 결합이다. 부모자녀처럼 종적인 결합이 부부간의 횡적인 결합보다 더 강력 한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므로 치료자는 부부의 행동을 각각의 원가족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명확히 하여, 병리적 행동은 심층에 감춰진 표현이라는 것을 일깨워 준다. 충 성심은 때때로 오용되어 자신의 부모에게서 받지 못한 것을 자신의 아이에게서 얻으려 는 경우가 종종 관찰된다는 것도 알려 준다.

맥락 변인

contextual variable

contextual variable 맥락 변인: 환자의 의사소통 및 인지 능력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 로 영향을 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