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al period 태아기: 수정에서 출산 전까지의 임신기간을 태내기(intrauterine period)말하며, 다음과 같은 여러 단계로 구분한다. ①수정 후 1개월: 수정 후 1개월 동안을주별로 살펴보면 첫 주는 수정란이 자궁강에 도달하여 착상하는 시기로 수정란이 16-32세포기까지 분열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제2주: 수정란이 착상을 완료하고 외배엽과내배엽의 형성기이다. 제3주: 중배엽이 발생하는 시기가 된다. 제4주: 각 배엽이 고도로 분화되고 외배엽이 점차 외형을 갖추게 된다. 물고기를 닮은 아가미와 난황낭이 형성되고 심장의 융기가 보이며 심장과 꼬리가 구분된다. ②수정 후 2개월: 수정 후 2개월까지를 배아기라고 하며, 배아(embryo)로서 외모를 갖추는데 코와 입이 발생하고 안면의 형성이 이루어지며 꼬리와 아가미가 소실하고 태아의 특징을 갖추게 된다. ③3개월: 임신 3개월부터 출생 전까지를 태아기(fetal period)라고 하며 이때부터 태아(fetus)라고 한다. 피부는 유리처럼 투명하여 피하혈관이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며 체모가 생기고 외음부의 형태에서 남녀 구별이 용이해진다. ④4 개월: 코와 입이 벌어지며 피부가 빨개지고 얼굴에 솜털이 나며 4개월이 되면 태아는 태동을 개시한다. 이때부터 대체로 사람다운 형태가 이루어지며 이후 태아가 죽으면 사산(still birth)이라고한다. ⑤5개월: 얼굴의 생김새가 뚜렷하며 전신에 솜털이 나고 피부색이 암적색을 나타낸다. 모체는 태동을 인지하게 되며 태아의 심장 소리(heart sound)도 들을 수 있다.⑥6개월: 버터와 같은 태지가 전신을 덮으며 피하지방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⑦7개월:머리에 털이 발생하고 동공막이 퇴화하면서 안검이 갈라진다. 피부는 선홍색을 띠며 전신에 주름이 많은데, 특히 얼굴은 노인같이 주름이 생긴다. 남자의 경우 성호르몬에 의하여 정소(testis)가 음낭내로 들어간다. ⑧8개월: 피하지방의 축적과 함께 체표의 주름이 줄어들며 음낭내로 들어온 정소는 고정이 된다. 여성의 경우 대음순의 접촉이 완성되고 태아가 모체로부터 나와 체외발육이 가능해진다. ⑨9개월: 머리털이 명료해지고전신의 솜털이 퇴화되고 주름도 없어지며 따라서 사지가 포동포동해진다. ⑩10개월: 정상적인 태아는 심한 태동과 함께 성장발육이 활발해져 10개월 말경에는 평균 50㎝의 신장의 크기와 체중은 약 3㎏에 달하는 신생아로 변모하게 된다.
fetal stage 태아기: fetal period 참조.
fetus 태아: 인간에게 있어, 임신 7주나 8주에서부터 태어나기 전까지의 발달하고 있는유기체. cf: embryo.
fiber 섬유: 1. 가늘고 긴, 실과 같거나 섬유로 된 조직. 2. 단일 신경섬유. neuron 참조.
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내시경 삼킴 검사, 광섬유내시경 삼킴검사: 유연한 내시경을 이용하여 삼킴장애를 평가하는 검사. 음식을 삼키는 동안 나타나는 기도 보호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비강통로를 통해 인두 및 후두의 구조물들을관찰한다.
fiberoptic endoscopy 굴곡성 내시경법: endoscope 참조.
fiberoptic laryngoscope 섬유광시 후두경: 유연하여 구부리기 쉬워서 코와 목구멍의 오목한 부분을 검사할 수 있는 다수의 유리섬유들로 만든 기기. 환자의 코를 마취하여 이후두경의 튜브가 코의 밑바닥을 지나서 비인두, 구인두와 후인두의 뒤쪽으로 내려가서구개범인두의 영역에서 후두의 어떤 근육 약화나 후두의 손상을 관찰한다.
fiberscope 파이버스코프, 섬유내시경: 광섬유를 이용한 내시경의 일종으로, 피검자에게주는 고통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 관은 콧구멍을 지나서 연인두 부위까지 삽입되고, 관찰한 것들을 녹화하기 위해서 정지화면 혹은 동영상 카메라를 부착할 수 있거나, 심지어 피검자도 직접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연인두 폐쇄에서의 근육 활동을 평가하고, 치료에 있어 시각적 피드백 자료로서 사용된다.
fibrous joint 섬유관절: 관절구성물이 섬유조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