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집단설계

group design

group design 집단설계: 실험에서 사용되어지는 설계. 이 설계는 통계적 분석이 단일개인에 대한 변인들의 효과를 보기 위해 시도되는 단일사례연구와 반대이다. 그러나 집단설계는 피험자들이 독립집단설계, 반복측정, 피험자대응설계 등에서 피험자 집단의 변인들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룹홈

group home

group home 그룹홈: 장애인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한 방안으로, 주로 지적장애인이 많이 해당되는데, 소그룹의 장애인이 한 집에서 한두 명의 지원스텝들과 같이 생활한다.

집단치료, 그룹치료

group therapy

group therapy 집단치료, 그룹치료: 현재 개별치료 대신에 아주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진다. 이 치료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①환자들은 자신의 문제와 유사한 문제를 가진 다른 사람들을 알게 되어서 서로 지원을 하게 된다. ②대화 상황이 전후관계 지향치료(context-oriented therapy)를 만들 수 있어서, 집단이 다소 기능적 의사소통을 산출해 낼 수 있다. ③보다 더 집중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④전이와 유지가 더 쉽다. ⑤보다 더 자극을 주는 환경이 만들어지지만, 반응에 대한 의무가 집단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환자들은 개별치료를 받을 때 보다 덜 피로하다. ⑥환자는 사회성의 목적을 발견한다. ⑦환자는 치료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⑧잠재적으로 더 효과적인 학습상황이 만들어진다. 집단치료는 주로 말더듬인이나 실어증자 및 운동구어장애자와 음운장애 아동들에게 이용된다.

집단 중심 유관강화

group-oriented contingency

group-oriented contingency 집단 중심 유관강화: 행동관리나 행동수정의 한 형태인데, 몇 명의 선택된 학생이나 전체 학생의 행동에 따라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후속결과(즉, 보상이나 벌칙)를 적용하는 절차

단위를 집단으로 묶는 것

grouping

grouping 단위를 집단으로 묶는 것: 단기 기억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운데 하나로, 기억 대상이 되는 자극이나 정보를 서로 의미 있게 연결시키거나 묶는 인지 과정을 지칭한다. 이러한 인지 과정은 결과적으로 단기 기억의 용량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성장통

growing pains

growing pains 성장통: 아동기에 근육이 성장하는 신체에 적응하느라 근육이 당기는 듯한 느낌의 통증을 경험하게 되는 것.

성장

growth

growth 성장: 1. 유기체가 단세포의 접합자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의 질적․양적 변화과정, 성장을 양적 변화, 발달(development)을 질적 변화로 보는 학자도 있으나 두 어휘를 서로 바꾸어 써도 크게 무리는 없다. 예를 들어 신체적 성장은 신체적 발달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성장이라는 말이 어색할 때도 있다. 예컨대 성격발달을 성격 성장이라고 말하는 경우는 드물다. 2. 인간의 성품, 능력, 신념, 태도, 지력 등이 자연적․문화적 환경에 적응하는 힘이 향상되고 내적으로 통합을 성취하면서 재구성되는 과정. 듀이(Dewey)는 교육에 의한 인간의 성장을 경험의 재구성으로 설명한다.

의도적 대화

guided conversation

guided conversation 의도적 대화: 그룹에서 어떠한 사건이나 경험에 관하여 수집된 정보를 검토하는 하나의 방법. 해당 사건이나 경험에 관하여 그룹 내의 사람들의 행동에 관하여 탐색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유사한 상황에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파악한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집하여 팀 단위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안내 노트

guided notes

guided notes 안내 노트: 수업이나 발표를 할 때 학생들이 중요한 요소를 잘 적을 수 있도록 기본적인 정보나 단서를 적어 놓은 유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