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고기능 자폐증

high functioning autism

high functioning autism 고기능 자폐증: IQ가 70보다 높은 자폐증의 경우를 말하며, 현재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5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면서도 정상 이상의 지능과 인지 능력을 보이는 집단군을 의미하며, 공식적인 진단명은 아니다.

고급 언어

high level language

high level language 고급 언어: 대부분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되는 컴퓨터 언어의 형식. 고급 언어의 예로는 BASIC, FORTRAN, Pascal 등이 있다. 이러한 언어는 사용되는 컴퓨터 기계의 형식에 따라 다르며, 지원 프로그램을 작성하기가 보다 더 쉽다. 고급 언어는 영어단어로 된 실행을 표시하는 단위(진술), 기본적인 10개의 숫자, 수학적인 부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진술은 논리적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오류를 찾기 쉽도록 만들어졌다.

고수준 단기 증가 감성지수

high level SISI(short increment sensitivity index)

high level SISI(short increment sensitivity index) 고수준 단기 증가 감성지수: 와우 병변 및 후와우의 병변을 결정하기 위해 낮은 강도에서 높은 강도로 증가하며 실시하는 SISI 절차의 수정.

고차원적 언어

high order language

high order language 고차원적 언어: 언어지체를 대상으로 하는 서술이나 논의에 사용되는 언어. 이차원적(second order) 언어라고도 한다. 어떤 주어진 언어를 대상으로 하는 언어를 이차원적 언어라고 하고 그 대상언어를 일차원적 언어라고 한다. 이차원적 언어, 혹은 그것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고차원적인 언어를 통칭하여 고차언어 혹은 메타언어(metalanguage)라고 한다. 메타언어와 대상언어의 관계는 서로 상대적으로 성립된다. 즉, 고차언어도 그것을 대상으로 하여 논의하거나 서술하는 언어가 있을 때는 대상언어가 된다. metalanguage 참조.

고주파수 통과 거름기, 고 여파기

high pass filter

high pass filter 고주파수 통과 거름기, 고 여파기: 이 거름기는 어떤 하한계(cut-off) 주파수 이상의 모든 음파를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band-pass) 거름기이다. 예를 들면, 하한계 주파수가 800Hz인 경우, 800Hz 이상의 주파수대에 있는 모든 성분들은 통과시키지만, 800Hz 이하의 주파수들은 감쇠시킨다. filter 참조. band-pass filter 참조.

고확률

high probability

high probability 고확률: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 비율이나 빈도로 측량해 나타낼 수 있다. 확률은 수학적 확률과 경험적(통계적) 확률로 나눌 수 있는데, 수학적 확률은 주사위를 굴리면 어떠한 값이 나올 확률이 1/6이듯 그 일이 일어날 경우의 수를 뜻하고 경험적 확률은 미리 예측하는 것이 아닌 어떠한 일을 무수히 반복했을 때 그 일이 일어날 확률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추측이다. mathematical probability, empirical probability, probability 참조.

고설성 자질

high sound

high sound 고설성 자질: 혀가 중립 위치 위로 이동함으로써 산출된다.

초고속 디지털 영상촬영기, 초고속 성대촬영기

high speed digital imaging 초

high speed digital imaging 초고속 디지털 영상촬영기, 초고속 성대촬영기: 초당 2000 프레임으로 후두 및 성대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다. 초고속 성대촬영기는 현재까지 알려진 후두영상검사 중 성대의 움직임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장비이며 후두 스트로보스코피로 발견할 수 없었던 후두 병변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법이다. 성대 점막 진동과 후두 병변에 대한 좀 더 기능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 후두영상검사로 구조적 병변의 정도를 판단하기 어려움 음성질환자의 평가에 유용한 검사법이다.

자극력이 높은 구어

high stimulus speech

high stimulus speech 자극력이 높은 구어: 말더듬에서, 개인이 자신의 정상적인 구어 형태를 듣거나 느끼고, 자신의 비유창한 구어 형태와 비교하도록 훈련하는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