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tech 하이테크: 보완대체의사소통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거나 도구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적 기능을 의미한다. 음성 발생 장치(speech generating devices, SGDs, 또는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s, VOCA)가 대표적 예이며, 신체 일부, 포인터, 어댑티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으로 직접 스크린이나 키보드의 기호를 선택할 수 있고, 스위치나 스캐닝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기호를 고를 수도 있다. low tech, AAC 참조.
high tone deafness 고음성 농: 소음성 난청이나 노인성 난청 등으로 인해 고음역에서 청역 역치 수준이 높게 측정되는 것. deafness 참조.
high vowel 고모음: 혀를 입의 제일 위로 높이 하여 내는 모음. /i/, /u/, /ɪ/, /ʊ/ 등이다. Syn: close or narrow vowel.
higher level integration 더 높은 단계: 낱말들의 의미를 통합하고 언어로서 이해하는 단계.
higher order thinking 상위인지 사고: 사물 및 사건에 대한 이해, 사고, 문제해결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다 문제해결적인 수준의 사고를 의미한다.
higher pleasure 고등한 쾌감: 좀 더 복잡한 심리적 처리과정을 통해서 느껴지는 복합적인 긍정 경험이다. 고등한 심리적 욕구와 충족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 지속된다.
higher sentence 상위문: 단문(주어와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난 문장)이 확대되어 복문(주어와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난 문장)이 되는 과정 중, 한 단문을 절로 바꾸어 다른 문장의 한 성문이 되도록 하는 유형이 있다. ‘우리는 이제 그가 정당했음을 깨달았다’의 경우 ‘그가 정당했다’라는 단문이 ‘그가 정당했음’이라는 명사절로 바뀌어 전체 문장 속에서 목적어가 되었다. 이러한 복문의 짜임새를 상위문이라 한다. 즉 한 단문이 절 형식으로 바뀌어 다른 문장 속의 한 성문이 된 복문을 말한다. 단문이 다른 문장 속의 한 성문으로 안길 때에는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이 되어 안기는 경우들이 있다.
hilus 폐문, 문: 장기에 들어가는 혈관이나 신경이 모이는 곳. 장기 및 기관에 혈액을 공급하는 세동맥과 모세혈관들은 대개 폐문에서 분지가 일어난다.
hindbrain 후뇌: 교(pons), 연수(medulla oblongata), 소뇌(cerebellum) 등을 포함하는 뇌의 일부분이다. 이것은 중뇌(midbrain)의 아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