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인간성

humanity

humanity 인간성: 인간이 가진 본질과 인간다움으로 사람이 사람답게 살게 하는 본성이다. 시대와 문화에 따라 개념정의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인간이라면 이러이러한 것을 지키고 이러이러한 것을 배제해야 한다.'고 정의하게 되는 것들을 인간성이라고 한다.

허밍

humming

humming 허밍: 콧소리로만 음을 내는 것. 언어치료의 도입부에서 목을 풀게 하거나, 말더듬, 및 음성장애 치료 및 아동의 발화 유도 등에서 사용된다.

유머

humor

humor 유머: 언어적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 중 하나로 난처하고 불편한 상황을 웃음으로 넘기거나, 공격적인 감정을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으로 해소시키는 방법이다. 유머는 농담(joke)과는 다른데, 단순한 재미와 즐거움이 목적인 농담은 그 대상이 주로 타인이지만, 유머는 자신의 불편한 감정과 상황을 이겨내기 위한 것이다.

배고픔 울음

hunger cry

hunger cry 배고픔 울음: 울음은 본인의 의사전달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며 신생아의 상태, 욕구, 요구에 대한 표현, 신생아 울음의 의사소통 의도와 관련된 음향학적 특성이 있다.

헌츠 증후군

Hunt's syndrome

Hunt's syndrome 헌츠 증후군: Ramsay Hunt syndrome 참조.

헌터 증후군

Hunter syndrome

Hunter syndrome 헌터 증후군: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으로, 뮤코다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결핍되어 뮤코다당류가 세포 내에 축척되면서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골격 기형과 경증에서 중증의 지적 능력이 나타날 수 있다. mucopolysaccharidosis syndrome 참조.

헌팅턴 무도병

Huntington chorea

Huntington chorea 헌팅턴 무도병: 기저핵과 대뇌피질에 병변이 있는 드문 유전성 질환. 만성 진행성 무도병이라고도 한다. 성인기 이후에 무도병양운동과 지능저하를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발병연령은 40세 전후인데 상염색체우성의 유전성 질환으로 남녀차는 없다. 무도병의 불수의 운동과 정신지능저하의 2대 증상은 반드시 같은 시기에 발현하는 것이 아니고, 보통은 불수의운동이 선행한다. 무도병양운동은 느닷없이 일어나서 불규칙하게 되풀이되며 빠르다. 정신적으로 긴장하거나 수의운동을 하려고 하면 불수의운동이 일어나 목적하는 운동이 방해된다. 발어 때에 입아귀에 경련이 일어나거나 미간에 주름이 잡혀 얼굴이 찡그려지고 마침내는 대화도 현저하게 장애된다. 보행 시에는 다리를 끌거나 몸을 비벼꼬기도 하며 기묘한 몸짓을 나타낸다. 이것은 얼핏 춤추는 것처럼 보이므로 무도병양운동이라고 불린다. 진행되면 불수의운동 때문에 보행이 곤란해지고 자주 넘어져 일어서지도 못하게 되어서 일상생활에 현저한 지장이 생긴다. 정신 증상으로서는 우울, 인격의 변화, 흥분 등을 볼 수 있으며 자살을 꾀하는 일도 적지 않다. 또 계산이나 기억도 장애가 되고 판단력과 이해력이 저하하여 결국에는 폐인과 마찬가지가 된다. 대개는 10-15년 전후의 경과로 사망하는데 직접 사인으로는 감염증이 많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우성유전을 보이므로 우생학적으로 피임, 우생수술 등을 실시한다. 부모가 60세 이상 되어도 발병하지 않을 때에는 그 자녀가 발병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밖에 소아에게는 근경직이 강하고 불수의운동이 적은 연소형의 헌팅턴 무도병이 있다.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Huntington’s disease 헌팅턴병: Huntington chorea 참조.

헐러병

hurlers disease

hurlers disease 헐러병: 지적장애아의 원인이 되는 유전적 신진대사 장애.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신체적 퇴보가 이루어져 결국에는 죽게 된다. 입술이 두텁고, 콧잔등이 넓적한 것 등 눈에 띄는 이상 현상이 외모에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