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fluent speech 과 유창 발화: 유창성 실어증 환자에게 관찰되는 매우 빠른 속도의 발화로, 휴지기가 거의 없고 앞뒤가 맞지 않으며, 비효율적이고, 화용적으로 부적절한 발화 특징을 보임.
hyperfunction 과도기능, 기능항진: 지나치게 힘이 들어가거나 긴장된 것으로, 보통 성대 수준에서 일어나지만, 성로를 따라 여러 지점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voice disorders of phonation 참조.
hyperfunctional dysphonia 과기능적 발성장애: 음성장애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기능적과 기질적 두 가지의 병인적 범주로 나뉜다. 기능적인 문제는 후두의 남용이나 오용과 관계가 있다. 환자는 말하거나 노래하는 동안 지나친 노력을 하는 음성 과대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이런 환자의 효과적 치료는 대개 음성 남용과 오용을 발견해내는 것부터 시작한다.
hyperkeratosis 각화증, 각질 증식증: 1. 피부 각질층의 비대. 2. 구강의 가장자리가 주위의 조직들과 융화되어진 회-백색이며, 평평하고, 부드럽고, 그리고 매끄러운 조직들(patches)로 특징 되어지는 구강의 질병. 음성은 목쉰 소리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 부전실성증이 있을 수도 있다. laryngeal anomaly 참조. aryngeal anomaly 참조.
hyperkeratosis of vocal fold 성대 과각화증: 성대 표면에 비정상적으로 하얗게 각화된 조직이 끼게 되는 질환 생태. 성대암으로 변해 갈 수 있는 ‘전암 병변’이다.
hyperkinesia of the false folds 가성대의 운동과다증: 발성을 하는 동안에는 진성대 위쪽에 있는 가성대가 완전히 열려 있는 것이 정상이지만, 이 가성대가 수축과 폐쇄를하는 것. 가성대의 가장자리에 보호 조직이 없기 때문에 부차적으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데, 성대 남용으로 가성대가 매우 상처받기 쉽다. 음성은 거의 항상 계속해서 목쉰 소리일 수 있거나, 아침에는 음성이 거의 정상일 수 있고, 점차 오후가 되면서 나빠지게 될 수 있다. 후두경으로 후두를 한 번 검사했을 때 정상으로 보일 수 있어서, 이러한 것들을 진단하는 것은 어렵지만, 연속적으로 검사하면 가성대의 비정상적인 운동이 나타날 수 있다. laryngeal anomaly 참조.
hyperkinesia, hyperkinesis 과운동증, 다동증, 운동기능과다증: 끊임없이 그리고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활동함. hyperactivity 참조.
hyperkinetic 과운동의, 다동의, 운동과다증의: 과운동성과 관련된. hyperkinetic type 참조.
hyperkinetic dysarthria 과긴장형 마비성구어장애, 과대운동형 마비성구어장애: 추체외로계의 기능장애의 결과로 불수의 운동이 나타나는 신경근육 구어장애. 근육 긴장(muscle tone)은 비정상이고 저긴장에서 과긴장까지 분류할 수 있으며, 어떤 환자의 경우에는 그 두 가지 사이에 왔다갔다 한다. 이것은 간대성근경련(myoclonic)과 무도병모양의(choreiform) 장애에서 발생한다. 운율은 특히 속도와 리듬과 관련하여 심하게 영향을 받는다. 조음기들의 불협응에 기인한 음과 단어분절들의 결함이 있다. 연구개 운동의 감소가 과대비성공명을 증가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