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kinetic dysarthria 과다운동성 운동구어장애, 운동과잉형 마비성 구어장애: 기저핵 혹은 다른 뇌 영역의 연결 부위에 나타난 손상으로 인한 마비성 구어장애. 헌팅턴병, 무도병, 윌슨병 등을 들 수 있다. dyskinetic dysarthria 참조. dysarthria 참조.
hyperkinetic dysphonia 과운동성 부전실성증, 과운동성 실성증: 후두근 또는 호흡근의과도한 수축으로 인한 발성의 부분적 상실. voice disorders of phonation에서 aphonia 참조.
hyperkinetic syndrom 과운동형 증후군: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참조.
hyperkinetic type 과대운동형, 운동과잉형: 기저핵이나 기저핵 제어회로상의 손상으로 억제기능의 저하나 상실로 인하여 관찰되는 안면, 구강 구조, 목, 사지 등에 갑작스럽고 불수의적이며 목적 없는 움직임을 보이는 유형이다. 한 가지 활동을 완전히 끝마치지 않고 다른 한 가지 동작으로 옮아가는 경향, 조화되지 않고, 제대로 조절되지 않은 과도한 활동이 특징이다.
hyperlexia 고기능 읽기장애, 과독증: 전반적 발달장애의 약한 형태로, 언어 이해나 인지 능력은 낮은 데 비하여 문자와 낱말에 과도한 관심을 보이고 읽는 능력은 일찍 발달되나 의미 이해는 거의 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임. 무턱대고 읽기는 잘하지만 읽은 뜻을 이해하는 능력은 떨어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과독증의 특징으로는 ①인지적 또는 언어적 발달에 지체를 보인다. ②매우 이른 시기(만 2세 정도)에 단단어 읽기가 나타난다. ③특별한 언어 교수 없이 유창하게 단어 읽기 능력을 보인다. ④충동적 또는 강박적인 성격을 보인다. ⑤현재의 인지능력에 비하여 뛰어난 단어 읽기 능력을 보인다.
hypermedia technology 하이퍼미디어 기술: 문자를 동영상, 음성 파일, 웹사이트 등과연결시키는 시스템.
hypernasality 과다비성, 과대비성, 과비성: 비음이 아닌 말소리에 과도하게 비성 공명이 나타나는 현상. 말하는 동안 소리가 비강으로 부적절하게 흘러들어 갔을 때 나타나는 공명장애의 한 형태로 연인두 기능 부전과 관련이 있다. 말소리의 음질은 대개‘콧소리가 난다’, ‘잘 들리지 않는다’ 등으로 지각되며, 웅얼거리는 듯한 소리의 특징을 갖는다. 이는 특히 모음에서 지각된다. 대부분의 모음과 비음(/ŋ/, /n/, /m/)과 같은 유성, 지속음을 너무 지나치게 비성화하여 그 음성이 현저하게 불쾌하다. 과대비성은 일차적으로 모음에 관계된 현상이고, 이것은 별도의 일차적인 후두인두구강체계와 후두인두비강구강 체계로 옮겨 다니는 것에 영향을 받는다. voice disorders of resonance 참조.
hypernym 상위어: 해당 단어의 의미 영역이 다른 단어의 의미 영역을 포함하고 있을때, 작은 영역을 안고 있는 상위의 단어(예. ‘식물-나무’에서의 ‘식물’)
hyperopia 원시: 이미지가 망막 위에 맺히지 않고 망막 뒤에 맺히는 상태로,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를 보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근시와는 반대로 눈의 수정체(렌즈)와 망막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 맺혀지므로 멀리 있는 물체는 잘 보이나 가까이 있는 물체는 뚜렷이 보이지 않는다. 가벼운 원시는 시력장애는 없으나 근거리 작업 시 시력의 감퇴, 안통, 눈의 충혈, 건조감 등이 있다. 치료는 볼록렌즈(돋보기) 안경으로 교정하는데 이를 플러스(+) 렌즈라고 한다. 원시도수가 어느 정도 되어야 교정한다는 규칙은 없으나 안정피로의 증상이 없는 한 교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직업에 맞게 안경을 처방하며, 내사시를 일으킨 원시에는 반드시 원시도수를 교정해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