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plasia 과대형성, 과대생장, 증식 과형성: 구조물의 과도한 발달. 조직이나 기관안에 들어있는 세포 수가 지나치게 증식된 상태이나 종양의 형성과는 상관이 없다. 정상적인 경우보다 몸체 크기가 더 크다. cf: hypertrophy.
hyperplastic 과대형성의: 과대형성과 관련된.
hyperplastic laryngitis 과형성 후두염, 증식의 후두염: 점막에 국소되었거나 넓게 확장된 특징을 나타내는 만성적인 상태. 음성에 새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급성 후두염, 음성 남용, 혹은 영양 부족 등이 이차적인 원인이지만, 특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것은 자신의 음성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가수에게서 나타날 수 있다. laryngitis 참조.
hyperrecruitment 과대보충, 과다보충현상: 소리의 크기 증대가 너무 빨라서 동일한 강도에서 어떤 음이 정상 귀에서 보다 장애된 귀에 더 크게 들리게 된다. recruitment 참조.
hyperreflexia 반사이상항진(反射異常亢進): 과도한 신체반사가 나타나는 증상. 경련 및 강직과 관련되어 있다. 상부운동 신경세포의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척수 손상, 약물의 오남용, 갑상선 기능 항진증(hyperthyroidism),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뇌손상,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자간전증(preeclampsia), 라이 증후군(Reye syndrome)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hyporeflexia 참조.
hyperrhinolalia 과도비성, 과비성: hypernasality 참조.
hypertelorism 격리증, 양안 과다 격리증, 양안 격리증: 두 눈 사이의 거리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멀리 떨어져 있는 질환. 안와와 안와 사이의 거리가 넓은 경우로 아퍼트증후군, 크루즌증후군 등과 같은 선천성 안면기형에서 구개열과 동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hypertonia 과긴장형, 긴장과도, 긴장항진, 과다근육긴장: 과도한 신체 긴장도. 운동 발달성 문제의 진단적 신호일 수 있으며, 사지에 비정상적인 힘의 양을 설명하는 것.
hypertonic 과도긴장의: 근육에서처럼, 지나친 긴장을 뜻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