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과소 내전

hypoadduction

hypoadduction 과소 내전: 성대내전이 조여지지 않은 느슨한 성대를 말한다. 기식음과 약한 음성을 만든다.

침울증, 심기증, 신병기우증, 하이포콘드리아(신경)증

hypochondriasis

hypochondriasis 침울증, 심기증, 신병기우증, 하이포콘드리아(신경)증: 어떠한 심각한 질병에 걸리게 된 공포에 의해 그 사람의 생명이 고통 받게 되는 신경증. 대부분의 경우 그와 같은 사람들은 불규칙한 심장박동, 발한, 작은 기침 등과 같이 대체적으로 가벼운 질병을 가진다.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더 많이 고통 받는 경향이 있다. 그 질병이 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심각한 병이 아니라는 것을 믿도록 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 상태는 우울증의 증상일 수 있다.

과소기능

hypofunction

hypofunction 과소기능: 장기간 과도 사용, 근육피로, 조직염증, 성문의 개폐와 관련있는 일반적인 후두의 또는 특별한 문제 등의 결과로 오는 성대 능력의 감소. 공기상실, 가끔 목쉰 소리, 음도 파열 등의 특징이 나타난다.

설하신경

hypoglossal nerve

hypoglossal nerve 설하신경: 혀와 연결된 대뇌신경. intrinsic muscle of the tongue 참조. cranial nerves에 있는 Cranial Nerves 표 참조.

설골설근

hypoglossus muscle

hypoglossus muscle 설골설근: 설골에서 혀로 나아가는 근육이며, 혀를 뒤로 또 밑으로 당긴다. 7번 뇌신경(hypoglossal m.)이 공급된다. extrinsic muscles of tongue 참조.

성문하 영역

hypoglottic region

hypoglottic region 성문하 영역: Syn: infraglottic region.

운동기능 감소증, 과소운동, 운동저하증

hypokinesia, hypokinesis

hypokinesia, hypokinesis 운동기능 감소증, 과소운동, 운동저하증: 신체적으로 움직임이나 운동 활동의 정상적인 범위의 감소; 생기가 없는 것. hypoactivity 참조.

과소운동형의, 저운동형

hypokinetic

hypokinetic 과소운동형의, 저운동형: 기저핵의 이상이 생겨 느린 운동, 운동범위의 제한, 강직, 진전의 신경근육이상이 나타나 단음도, 단강도, 강세 감소, 부정확한 자음의 이상이 나타나는 것.

저긴장형 마비성구어장애, 과소운동형 마비성구어장애

hypokinetic dysarthria

hypokinetic dysarthria 저긴장형 마비성구어장애, 과소운동형 마비성구어장애: 추체외로계의 장애와 연관되고, 단음도와 강도의 단조로움, 강세의 감소, 부정확한 자음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유발하는 원인질환으로는 파킨슨증을 보이는 세 가지 유형, 즉 특발성 파킨슨병, 이차 파킨슨병, 파킨슨 플러스 증후군이 있다. 조음은 좋지 못하지만, 이것은 특정한 조음의 약함보다는 계속되는 구어에서 운동의 속도 및 범위를 조절하는 어려움에 더욱 기인한다. 한 단어씩 말하는 구어에서는 분명할 수도 있지만 연속구어에서는 빠르게 장애가 나타난다. 구어는 짧고, 갑자기 나오며, 문맥 상황에서 빠른속도증가와 운동범위의 감소 등으로 특징지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