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운동저하형, 과소운동형

hypokinetic type

hypokinetic type 운동저하형, 과소운동형: 1. 기저핵이나 기저핵 제어회로가 손상되어 운동기능의 장애로 운동의 범위가 정상보다 줄어들거나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다. 2. 발병 요인의 하나가 운동부족에 있는 일련의 질병, 엄밀한 정의는 없고, 현재는 학술적이라기보다 오히려 일반적인 호칭으로 동맥경화증, 자율신경불안정 증후군, 요통, 비만증, 허혈성심장질환 등을 가리키고 있다. 고혈압, 신경증 등을 여기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하후두, 아래후두

hypolarynx

  hypolarynx 하후두, 아래후두: 후두의 성문 아래 부분. hypo(아래)+larynx(후두)가 결합된 합성어이다.

어휘력결핍증

hypologia

hypologia 어휘력결핍증: 지능이 낮거나 어떤 대뇌장애로 인한 정상적인 구어 능력의 부족.

무표정

hypomimia

hypomimia 무표정: 아무런 감정을 얼굴에 드러내지 않는 얼굴 표정으로 감정 결핍, 지루함, 약간의 혼란, 우울함의 신호 등으로 인해 나타나며, 특히 남에게 감정을 숨길 때 짓는 무표정은 포커 용어로 포커페이스라고도 한다. 수면 상태에서 사람은 보통 대부분 무표정을 짓는다. 얼굴근육의 약화, 마비와 같은 운동손상이 원인이 된다.

과소비성, 무비성, 저비성

hyponasality

hyponasality 과소비성, 무비성, 저비성: 비정상적인 공명의 하나로, 비인두 혹은 비강통로의 막힘으로 해서 비강공명이 감소했을 때 나타난다. 특히 비음(/m/, /n/, /ng/)과 비음동화가 나타나는 말에서 잘 감지할 수 있다. 연구개 기능의 저하로 비강음 발음 시 비강 누출이 차단되어 구강음으로 치환된 음이다. 감기, 건조열, 아데노이드의 확장 등이 있는 사람의 음성에 나타날 수 있다. 양콧구멍 내부가 부어오르거나 입천장 위의 비강에서 충혈 또는 목구멍에서 코로 들어오는 입구가 아데노이드의 확장 등으로 폐쇄되면 비음에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말하는 사람이 감기에 든 코막힌 목소리를 내게 된다. voice disorders of resonance 참조.

하위어

hyponym

hyponym 하위어: 해당 단어의 의미 영역이 다른 단어의 의미 영역의 한 부분일 때, 작은 영역에 해당하는 단어(예. ‘나무-소나무’에서의 ‘소나무’).

하인두

hypopharynx

hypopharynx 하인두: 인두의 일부로, 구강의 바로 아래에 있는 후두개에서부터 식도까지 뻗어 있다. 인후두(laryngopharynx).

과소실성증, 발성부전, 과소발성증, 과소음성증

hypophonia

hypophonia 과소실성증, 발성부전, 과소발성증, 과소음성증: 속삭이는 음성이 특징이 되는 부전실성증의 형태. 지나치게 작은 말소리로 말하는 증상. 측두엽 간질 환자들 중 일부에서 나타난다. voice disorders of phonation 참조.

과소구어증

hypophrasia

hypophrasia 과소구어증: 어떤 정신병적 상태에서의 우울한 양상을 특징으로 나타내는 구어 부족이나 구어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