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모국어

native language

native language 모국어: 개인이 처음 학습한 언어. language 참조.

모국어 자기장 이론

native magnetic theory

native magnetic theory 모국어 자기장 이론: 영유아가 모국어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모국어에 대한 언어지각능력은 증가하지만 반면에 외국어에 대한 지각능력은 감소한다고 주장하는 이론.

모국어처럼

native-like

native-like 모국어처럼: 주로 외국에 나가있는 사람이 고국의 말을 이를 때에 사용하는 용어로, 자기 나라의 말처럼으로 해석가능.

생득주의

nativism

nativism 생득주의: 지식이 경험에 의해 학습된다는 견해와는 반대로, 생득적이라는 견해. 인간 지식은 선천적으로 습득된다는 철학.

생득론자 이론

nativist theory

nativist theory 생득론자 이론: 언어 습득은 타고난 것이며, 생리적으로 미리 결정되어졌고, 유전적으로 전해져 오는 현상이라는 믿음. 경험이 주는 기능은 언어를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타고난 능력을 활성화시키며, 그 능력을 언어적인 능력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언어 성숙은 경험과 학습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인간 유기체의 어떠한 고유성이라는 견지에서 설명된다. Syn: biolingustic, innatureness, or rationalist theory. language theories 참조.

생득 이론, 생득설

nativist theory

nativist theory 생득 이론, 생득설: 아동에게는 언어학습에 대한 타고난 재능이 있으며, 아동은 부모들이 내는 소리가 자신의 타고난 형태에 어느 정도 맞는 의미와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때, 언어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모든 인간은 언어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재능이나 성향을 가지고 태어나며, 부모들의 구어는 단지 그 잠재력을 일으켜 주는 것뿐이다. 이러한 타고난 재능은 언어획득장치(language acquisition device), 즉 인간의 독특한 진화적응으로써 어느 정도 초자연적(신비주의적)으로 개념화되어 아직 특별히 지적되지 않은 대뇌의 어느 부위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언어의 발달은 일반적인 성취의 부산물이며, 언어습득단계의 열쇠가 되는 운동기능의 성숙과 동시성을 가진다. Chomsky(1965)나 Roger Brown(1973)은 유아는 단어를 모아 구절과 문장을 형성하는 문법능력을 타고난다고 주장하였다. Chomsky는 인간의 언어기능을 생득적인, 즉 선천적으로 타고난 특성으로 보았다. 여기서 언어기능이란 Chomsky에 의하면 대체로 인간의 생득적 언어습득 능력과 그로 인하여 얻어지는 '문법적 능력'을 포괄적으로 지시하는 말이다. language theory 참조. nativistic theory 참조.

자연의, 자연스런

natural

natural 자연의, 자연스런: 변형생성문법이론에서 즐겨 쓰이는 말. 언어기술에 있어서 쓰여 질 경우 원의로서 "언어적 직관에 어울린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의미는 general, simple로 바꾸어 쓸 수 있는 내용을 나타낼 때가 많다.

자연적 자음체계

natural consonant system

natural consonant system 자연적 자음체계: 저해음(장애음)은 공명음보다 더 유표적이다. 저해음중에서 폐쇄음이 가장 자연스러운 하위 부류이고 마찰음은 파찰음보다 더 자연스럽고 연구개음이 구개수음보다 더 자연스럽다. 유성 저해음은 무성저해음보다 더 유표적이다. 이차 조음을 하는 것은 하지 않는 것보다 덜 자연스럽다. Chomsky와 Halle(1968)이 주장한 자음체계에서 첫째로 무표자음들은 비지속이고 무성음이다. 즉 /p/는 [m]유성인 /b/나 혹은 [m]지속인 /f/보다는 무표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로 전방자질인 순음과 치음들은 비전방자질인 구개음과 연구개자음들보다 무표성을 갖는다. 그래서 /p/와 /t/는 [+전방]인데 /k/는 [-전방]이다. 마지막으로 순음위치는 치음위치의 비비폐쇄음(nonnasal plosive)에 대해서 다소 유표적인지 어떤지를 결정짓지 못하고 있다.

자연 주파수, 고유 주파수

natural frequency

natural frequency 자연 주파수, 고유 주파수: 1. 전기학에서, 진동(oscillation)의 비율. 유도 감응저항이 전기용량의 감응저항과 같을 때 그 주파수와 대략 비슷하다. 2. 주파수에 관하여 자유 진동쪽으로 바뀌려는 진동체의 고유한 힘. 3. 최소한의 외부의 힘으로 물체가 진동할 때의 주파수. Syn: resonant frequency. fundamental frequency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