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ural history effect 자연적 내력 효과: 아동의 다른 기술(예: 소근육 기술, 청각적 변별력, 특정 음소대조 습득)이 향상되면서 우연히 목표음소의 발음이 향상되는 경우이다.
natural language 자연언어: 자연언어는 인공언어와 대치된다. 자연언어(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힌두어 등)는 인류라고 하는 종(種) 전체에 특유한 것이다. 의사소통과 표현의 도구인 자연언어는 모든 인간의 언어활동에 보편적인 특성에 의거하고 있다. 인공언어는 몇 가지 언어 특성을 이용해 인간이 만든 독자적인 구축물이다. 코드(Morce 신호와 같이)인 것도 있고 단어(수학용어 등)인 것도 있다.
natural method 통합법, 자연스런 방법: 통합적인 방법. aural rehabilitation 참조.
natural phonological processes 자연적인 음운 변동: 언어에서 일반적인 음소 축약 체계(phonemic simplification system)를 나타내는 음변화. 그러한 음변화는 ①구절 층위(underlying level)에서 복잡한 조음구조가 표면층위(surface level)에서 덜 복잡한 구조로 변화하는 축약과 ②세계의 자연언어에서 충분한 수의 음 변화 현상에 의해 증명되는 변동인 보편성(universality) 등의 두 개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phonological processes 참조.
natural phonology 자연 음운론: Stamp, Venneman, Hopper 등이 제안한 생성음운론의 수정이론으로서, 주로 음운 표시 및 규칙의 추상성(abstractness) 문제를 둘러싸고 종래의 변형생성음운론과 대립하여, 기저형이 표면형과 제약 없이 달라서는 안 되고 오히려 유사해야 하며, 이들 사이를 맺어 주는 규칙도 음성적인 정보만을 지니고 자동적인 것이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generative phonology 참조.
natural pitch 자연스런 음도, 최적 음도: 최소의 성대 노력으로 최대의 성대수행력을 가져올 때의 주파수. 성대의 운동이 공명 요인들에 의해서 가장 잘 촉진될 때의 주파수이며, 종종 개인이 가능한 한 최저의 음도산출 바닥 가까이에 있는 2~3개 음정(notes)에서 발견된다. 최적의 주파수는 성인 남자가 약 125Hz, 성인 여자가 225Hz이다. Syn:optimal pitch.
natural process analysis 생성변동분석, 생성음운변동분석: Shriberg와 Kwiatowski가 1980년에 아동이 음변화를 산출할 때 음운변동을 이용하는지를 알기 위해 자발발화의 샘플을 얻기 위해 고안했다. 유도된 발화들을 전사한 다음에, 파열음, 비음, 유음, 마찰음, 파찰음으로 기호화하여, 그 정보들을 요약하였다.
natural recovery 자연회복: 치료적인 절차를 실시하지 않아도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는 경우. 언어치료에서 자연 회복은 특히 말더듬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말더듬 발생 인구의 75%가 자연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atural segments 자연 분절음: 자연분절음은 여러 언어에서 자주 발견된다. 가령 모음 /i/나 /u/는 모음 /y/나 /w/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더 자연스럽다. 일반적으로 어떤 언어에 /y/나 /w/가 있다면 그 언어에는 반드시 이미 /i/나 /u/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