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ural setting 자연적 환경: 언어치료실 외의 환경으로서 환자가 의사소통을 하는 대부분의 장소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나누는 성공적인 의사소통이 최종치료목표이다. 영유아의 경우에는 치료를 자연적 환경에서 실시한다. 자연적 환경으로 치료 장소를 확장하는 일은 반응유지를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
natural voicing 자연 발성: 중립 위치에서의 혀는 입의 열린 상태에서 올라가며 연구개는 상승되고 성대의 진동을 위해 성문이 좁혀진다. 이런 발성을 자연 발성이라 한다.
natural vowel system 자연 모음체계: 구강모음은 비성 모음보다 훨씬 더 자연스럽다. 어떤 모음체계에서 비성 모음의 존재는 구강모음과 거의 틀림없이 비성 자음이 존재함을 함의한다. 마찬가지로 이완모음은 대응하는 긴장모음이 있음을 함의한다. 그린버그에 따르면 장모음은 단모음이 있음을 나타낸다. 비전설 저모음은 가장 자연스러운 모음인 것 같이 보인다. 분명히 어떤 언어에도 /a/나 /α/의 소릿 값을 가진 모음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일은 없다. 전설 고모음 /i/도 모든 언어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저모음들보다 /i/가 덜 자연스럽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한 쌍의 소리들 중 어느 소리가보다 더 자연스러운 것인가를 결정하는 한 가지 길은 어느 것이 소리체계 내에서 상대음과 독립해서 나타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어떤 소리들은 상관되는 소리들이 나타나지 않으면 거의 항상 나타나지 않는다. 어떤 개별 언어 목록에서 어떤 특정한 소리의 존재가 또 다른 소리의 존재를 함의한다면, 그 양자 간에는 함의의 법칙이 적용된다. 여러 함의적 법칙은 ①유성장애음은 무성장애음을 함의한다. ②이차조음을 지닌 장애음은 단순장애 음을 함의한다. ③무성공명음은 유성공명음을 함의한다. ④비모음은 구강모음을 함의한다. ⑤원순 전설모음은 평순 전설모음을 함의한다. ⑥중모음은 전설모음을 함의한다. ⑦후설 고모음은 전설 고모음을 함의한다. 등의 사항을 포함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naturalistic approaches 자연적인 접근: 자연스러운 환경을 언어교육의 기반으로 이용하는 교육
naturalistic observation 자연적인 관찰: 자연스러운 환경 내에서 대상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목표 행동을 관찰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대상자에게서 관찰되지 않은 행동이 대상자의 행동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지 아니면 포함되어 있으나 단지 수행되지 않은 것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naturalness condition 자연성 조건: 변형생성문법의 음운론에서 사용하는 용어. 음운표시를 결정할 때 음운표시와 음성표시 관계에 대해 부여하는 조건을 말한다.
nature vs. nurture 본성 대 양육: 발달의 결정인자에 대해 두 개의 대비되는 관점. 본성 관점에 따르면 발달은 생물학적으로 결정되고, 양육 관점에 따르면 발달은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
navigation 경로: 일이 진행되는 방법이나 순서.
near infrared spectroscopy 근적외선분광분석: 두개골을 통한 적외선의 투과 정도를 탐지하는 비침습적 방식으로,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여 뇌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