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신 프로이드 관점

neo-Freudian view

neo-Freudian view 신 프로이드 관점: 신 프로이트 학파(neo-Freudian)라고 하면 보통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에 다양한 개념을 추가하거나 고전적 프로이트이론을 수정하려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들은 최소한 방법론적으로 유사한 방식을 취하며, 그들의 이론적 근거에는 모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접근이 깔려 있다.

신피질

neocortex

neocortex 신피질: 대뇌 피질 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동피질(isocortex)이라고도 한다.

신성문

neoglottis

neoglottis 신성문: 성문이 없을 때 성대 발성을 내기 위한 기능을 하는 진동 부분 혹은 영역. 어떤 학자들은 그 부분이 인두식도(PE) 연결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또 어떤 학자들은 상식도괄약근과 하인두수축근에서 나오는 섬유들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생각함. Syn: pseudoglottis.

신조어, 신어(新語)

neologism

neologism 신조어, 신어(新語): 자기만이 아는 의미를 가진 새로운 말을 만들어내는 현상. 1. 만들어진 단어로, 일반적으로 수용되어지는 언어 기호(code)에서 근거는 없으나, 언어적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단어. 2. 새로운 단어로 바뀐 상투적인 단어(conventional word)로 그 의미는 발화 속에는 나타나지 않음. 청자에게 의미가 없는 낱말을 말함: 실어증 환자에서 나타남. 실어증 환자의 언어에서 자주 나타남. 예를 들면, spoon과 fork를 spork로 말한다. jargon 참조.

신어적 왜곡

neologistic distortion

neologistic distortion 신어적 왜곡: 한 낱말에서 생성된 말소리의 반 이상이 낱말의 본래의 말소리와 관계가 없을 때를 의미한다. 관계없는 음소 또는 의도한 음소의 전이가 나타나며, 한 낱말에서 생성된 말소리의 반 이상이 낱말의 본래의 말소리와 관계가 없을 때를 의미한다. 어느 정도의 조음의 유창성을 가지고 낱말을 하나의 단위로 발음하였을 때 이 용어를 사용한다. 정확한 조음 위치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말소리는 신어적 왜곡이라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서 만일 낱말을 알아들을 수 있게 발음하였다면 이를 조음의 실패 또는 심한 왜곡으로 점수 처리한다. 심한 경우에는 왜곡이 신어적 자곤(neologistic jargon)의 형체로 일어나기도 한다.

신어적 자곤

neologistic jargon

neologistic jargon 신어적 자곤: 가능한 구문 구조 내에서 표적단어와는 무관한 비단어(non-word)를 사용한다. jargon 참조.

신조 착어

neologistic paraphasia

neologistic paraphasia 신조 착어: 해당 언어의 사전에는 존재하지 않는 비단어 혹은 신조어(neologism)를 만들어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신독증

neoloxia

neoloxia 신독증: 낭독된 부분이 해당 언어에 상응되지 않을 경우.

신생아의, 신생아기의

neonatal

neonatal 신생아의, 신생아기의: 출생 직후부터 첫 한 달 동안의 기간과 관련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