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ive 설화, 이야기: 라틴어 "gnarus"에서 유래된 이야기 말하기를 안다는 뜻으로, 시제 상으로 의미를 전하고, 실제 혹은 허구 사건과 관련 있는 구두 혹은 문자 담화이다. 하나 이상의 발화로 과거 사건을 언어적으로 기술하거나 스스로 만들어낸 이야기.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화자가 일방향으로 사고나 사건을 전달하는 형태의 탈맥락적인 담화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건들을 원인과 주제에 의해 일관성 있게 구성하는 인지능력을 바탕으로 하여 구두 혹은 문자 언어로 표현된 것이다. 어휘, 문법, 구문구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적인 담화유형이다.
narrative conjunction marker 이야기 접속표지, 결속표지: 이야기 내 문장들을 서로 의미적으로 응집성 있게 연결해주는 표지로, 문장 간, 문장 내의 의미적인 결속을 만들어 문맥적 응집성을 높여주는 가시적인 문법적 장치이다.
narrative discourse 서술담화, 이야기 담화: 사실적 경험 이야기나 허구적 이야기를 하는 것. 담화 분석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narrative discourse 서술담화, 이야기 담화: 사실적 경험 이야기나 허구적 이야기를 하는 것. 담화 분석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narrative level 이야기 수준, 설화 수준: 이야기의 전반적 조직화 수준. 이야기 수준 분석방법은 담화의 수준을 전체와 부분으로 나누어 양자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이야기 제시 조건, 이야기의 자극 제시조건: 화자가 청자에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narrative skills 이야기 기술, 화술: 이야기를 청자에게 전달하는 기술. 단순히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식과 순서 뿐만 아니라 얼굴 표정, 몸짓, 제스처 등의 비언어적 요소 또한 넓은 의미에 포함된다. 내용은 간결하게, 핵심 내용부터 전달하는 두괄식으로 구성하고, 청중의 입장에서 공감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arrative speech 이야기체 구어, 회화식 구어: 타인의 방해 없이 말하는 담화로서, 종종 언어 샘플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이다. speech 참조.
narrative stages 이야기 단계, 내러티브 단계: Applebee(1978)가 제안한 이야기 발달단계. ①모음기(heaps): 이야기의 줄거리가 없음. 단순히 생각한 행동이나 묘사의 나열. ②연결기(sequences): 인물, 상황, 장면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됨. ③초보적 이야기 형성기(primary narrative): 이야기에 구체적인 중심이 있고, 이를 중심으로 보충적인 성질을 집합시켜 이야기를 더 명료화시키고 구체화시킴. ④산만한 연쇄(unfocused chains): 이야기의 양이 꽤 증가하지만 이야기의 전체적인 방향이나 초점이 없음. ⑤초점 연쇄(focused chains): 중심인물이 여러 사건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야기가 구성됨. 중심인물에게 이야기를 집중시킨다. ⑥완전한 이야기 형성기(narrative): 이야기의 중심이 있고 배경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중심인물을 통해 사건이 해결됨. 사건도 긴밀한 인과관계를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