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신경퇴행성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신경퇴행성질환: 신경세포가 퇴행하는 질환. 신경계의 한부분 혹은 여러 부분에서 서서히 진행하는 신경세포의 사멸로 인한 병이다. 일반적으로는 뇌혈관장애, 외상, 대사이상 등 뚜렷한 신경계세포외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치매,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헌팅턴무도병 또는 척수소뇌변성 등이 해당이 된다.

신경섬유 덩어리, 신경섬유다발

neuro-fibrillary tangle

neuro-fibrillary tangle 신경섬유 덩어리, 신경섬유다발: 두꺼워지고, 꼬이고, 고리모양이 된 뇌의 신경섬유로,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기본 신경병리이다.

신경청각학

neuroaudiology

neuroaudiology 신경청각학: 8번 신경과 중추청각통로의 평가에 중점을 두고 하는 청력에 관한 학문.

신경생물학적 변화

neurobiological changes

neurobiological changes 신경생물학적 변화: 노화 관련 인지 감퇴의 근간이 되며, 정상 성인에게서 보이는 이러한 감퇴(예: 주의력, 작업기억력, 집행기능의 저하)는 전전두엽의 손상을 보이는 환자들의 신경심리적 프로파일과 매우 유사하다.

신경시치(時値) 발성 이론

neurochronaxic theory of phonation

neurochronaxic theory of phonation 신경시치(時値) 발성 이론: 각 새로운 진동 주기는 뇌에서 회귀성 미주신경을 지나 성대근으로 전달되는 신경충동에 의해 시작되어진다는 이론. 성대 진동의 주기는 후두근에 전달되는 충동의 비율에 따라 달라짐. cf:myoelastic-aerodynamic theory of phonation.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neurofibroma 신경섬유종: 이 형태의 종양은 상염색체의 우성특성으로 유전될 수 있다. 이러한 말초종양은 대뇌 내 신경교종과 연관되어 질 수도 있다. 신경섬유종들은 뇌와 척수의 두개신경이나 말초신경에 나타날 수도 있고 머리에 혈압 증가, 실어증 증후, 반신마비, 시야의 문제, 발작 등을 야기할 수도 있다. 두통은 일반적인 증상은 아니다. 피부에 엷은 담갈색반점 (cafe au lait spots)도 있을 수 있다. 이 종양은 주로 복합적이고, 악성이 될 수도 있다. tumou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참조.

신경세포 생성

neurogenesis

neurogenesis 신경세포 생성: 신경계의 발생과정. 신경계에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가 있는데, 척추동물에서 중추신경계는 척삭과의 상호작용으로 표피외배엽에서 형성하는 신경관으로, 말초신경계는 신경관이 닫혔을 때에 그 등쪽에서 이동하는 신경관세포와 표피판에 의해 형성된다.

신경성 의사소통장애, 신경언어장애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신경성 의사소통장애, 신경언어장애: 신경학적 손상으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장애. 흔히 신경언어장애라 부르지만 말장애와 언어장애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언어를 통제하는 대뇌의 우세반구의 피질 및 피질하 영역들의 손상으로 인해 언어 이해 및 사용의 문제가 있는 것과 말초의 손상으로 인한 말 산출기관의 사용 문제가 있다.

신경성 함묵증, 신경성 무언증

neurogenic mutism

neurogenic mutism 신경성 함묵증, 신경성 무언증: 중추신경계 혹은 말초신경계 손상으로 인하여 말을 거의 할 수 없는 상태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말 불능증(anarthria)이나 감금증후군(locked-in syndrome) 등을 포함한다. mutism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