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신경증적 이득

neurotic profit

neurotic profit 신경증적 이득: 관심을 얻고, 환경을 통제하고, 죄의식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한 결함 또는 장애. 예) 후두염에 걸린 아동이 그것과는 관계가 없는 글로 써야 하는 숙제를 하지 않음. Syn: secondary gain.

신경증 이론

neurotic theory

neurotic theory 신경증 이론: repressed need theory 참조. stuttering theories 참조.

말더듬의 신경증적 이론

neurotic theory of stuttering

neurotic theory of stuttering 말더듬의 신경증적 이론: stuttering theories에서 repressed need theory 참조.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

neurotransmitter 신경전달물질: 시냅스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로 도파민, 아세틸콜린, 아데노신, 세로토닌 등이 있으며 신경충격에 의해 분비되어 다른 뉴런의 활동을 활성혹은 억제시킴.

중립위, 중립 위치

neutral position

neutral position 중립위, 중립 위치: 중립위란 어떤 음을 내기 직전의 구강의 모양으로서, 연구개는 치켜져 있어 공기가 코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혀의 몸체(설신)는 [e]를 발음할 때 정도로 높아져 있고 설단은 숨 쉴 때 정도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중립적 요구, 중립적 요구하기

neutral requests

neutral requests 중립적 요구, 중립적 요구하기: 세부적인 내용이 아닌 일반적이고 중립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명료화를 요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뭐?”, “응?”, "뭐라고?”, “모르겠는데?”와 같은 표현을 말한다.

중립자극, 중화 자극

neutral stimulus

neutral stimulus 중립자극, 중화 자극: 개인이 어떤 것에 도달하지도 회피하지도 않는 단서. 조건화 절차에서, 개인은 그러한 단서에 대해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중립자극은 조건화된 자극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stimulus 참조.

중립 접미사

neutral suffixes

neutral suffixes 중립 접미사: 모음이 뒤에 따르는 위치에서 허용되지만 어말 위치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자음군으로 끝나는 형태소들이 있다.

중모음, 중립모음

neutral vowel

neutral vowel 중모음, 중립모음: 입의 앞 또는 뒤, 높거나 낮은 곳이 아닌 중간 위치에서 산출하는 모음. 혀를 중립위치, 즉 중부중설(mid central)에 두어 발음하는 대개 무강세의 모음. 영어에서, 가장 일반적인 중성모음은 /ə/이다. Syn: indefinite, light, obscure, or unstressed vowel, sch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