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취학전 언어평가도구

Preschool Language Assessment Instrument(PLAI)

Preschool Language Assessment Instrument(PLAI) 취학전 언어평가도구: 3~6세 발달적인 순서로 배열되어 있음; 사고와 추론에 대한 4가지 수준을 측정함.

취학 전 언어검사

Preschool Language Scale(PLS)

Preschool Language Scale(PLS) 취학 전 언어검사: 취학 전 아동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평균연령 1-7세의 아동에게 실시한다. 아동의 생활연령(혹은 추측되는 언어 연령)보다 6개월 아래에서부터 시작한다. 하나의 수준에는 4개의 검사항목이 있고 각 항목마다 나이는 1.5개월로 나눈다. 아동의 생활연령 단계의 검사항목을 모두 실패했다면 검사항목이 모두 통과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이전(낮은 단계)의 항목으로 계속 내려간다. ①청각적 이해력 영역은 구어 손상이 있거나 병리학적 원인을 가졌거나, 심리학적 원인을 가진 아동들의 청각 이해력 발달 수준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이 영역에서는 명사와 비명사적 단어의 인지력과 이해력, 구체적이고 추상적인 생각, 개념 습득, 그리고 언어에 대한 문맥적 특성 이해력을 측정할 수 있다. ②언어 표현 능력 검사는 아동의 어휘력(단어의 활용), 단어 기억의 표현, 구체적이고 추상적인 생각단계, 개념획득, 조음, 그리고 단어의 문법적 특성의 사용능력을 측정한다. 이 척도는 유창한 언어와 그것의 사용을 수반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평가할 수 있다. 결과 분석은 청각적 이해(AC)와 구두능력(VA)에서 획득한 점수로 언어연령을 환산표를 통해 찾을 수 있다. 즉, 수용언어 연령(AGA)과 표현언어 연령(VAA)을 알 수 있게 되고, 이 두 연령의 평균치는 언어연령(LA)이 된다. 수용언어 연령과 표현언어 연령은 지수로 환산될 수 있다.

Preschool Language Scale-4th ed

Preschool Language Scale-4th ed

Preschool Language Scale-4th ed: 1~6;11세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측정; 청각이해력; 표현 의사소통. 표준 점수, 퍼센타일 순위, 등가연령이 제시되었음.

취학전 언어선별검사

Preschool Language Screening Test(PLST)

Preschool Language Screening Test(PLST) 취학전 언어선별검사: 3~5;11세의 선택된 언어 및 비언어 과업에 대한 선별.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Preschool Receptive & Expressive Scale(PRES)

Preschool Receptive & Expressive Scale(PRES)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PRES는 2세부터 6세 취학전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발달 척도로서 개발한 것이다. 검사의 평가문항은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하위검사로부터 인지능력과 관련되는 의미론적 언어능력, 언어학적인 지식과 관련되는 구문론적 언어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과 관련되는 화용적 언어능력을 포함한다. 검사의 결과를 통하여 전반적인 언어발달 연령, 언어지수와 백분위 점수를 제시함으로써 언어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혹은 언어발달에 지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간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

취학전 구어 및 언어 선별검사

Preschool Speech and Language Screening Test(PSLST)

Preschool Speech and Language Screening Test(PSLST) 취학전 구어 및 언어 선별검사: 3~5세 음운론, 구문론, 의미론; 변형-생성 모델 및 구어 및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에 근거하였음.

처방, 처방전

prescription

prescription 처방, 처방전: 구어에서, 의사소통장애의 득활(habilitation)이나 재활(rehabilitation)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의 준비 및 실시를 위한 문서로 된 양식.

규범문법

prescriptive grammar

prescriptive grammar 규범문법: 모든 화자나 작가들이 따르게 될 용법을 정확하게 적어놓은 규칙들.

규범규칙

prescriptive rules

prescriptive rules 규범규칙: 글쓰기 교실에서 가르치고 스타일 지침서에서 규정되는 것처럼, 언어가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정의하는 문법 규칙. 예를 들면, 부정사를 분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나 전치사로 문장을 끝내지 못하게 하는 규칙은 규범 규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