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전제능력

presupposition ability

presupposition ability 전제능력: 대화 상대자와의 의사소통 시 현재 상황에서 불필요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정보가 무엇이며, 변환되거나 새로운 정보가 무엇인지를 깨닫고 적절하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전제 능력

presuppositional skills

presuppositional skills 전제 능력: presupposition ability 참조.

전상징기적 행동

presymbolic scheme

presymbolic scheme 전상징기적 행동: 상징 놀이 단계 중 물건에 대한 기능적인 사용을 이해하여 그것을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구문적 방책

presyntactic devices

presyntactic devices 구문적 방책: 단단어 발화기에 필수적으로 있는 발화의 길이를 확장시키기 위해서 어린 아동들이 사용하는 방법들. 예) carcar(중복, 반복).

가상놀이, 가장놀이

pretend play

pretend play 가상놀이, 가장놀이: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 대상을 표상하거나, 시간・공간・역할 및 사물을 실제와 다르게 변형하는 놀이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가상놀이를 의미하는 다른 용어로는 상징놀이(symbolic play), 상상놀이(imaginative), 환상놀이(fantasy play), 가작화 놀이(make-believe play), 극놀이(dramatic play)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모두‘그대로가 아닌(non-literal)’,‘~인체 하는(simulative)', '마치 ~처럼 하는(as-if)' 형태로 나타내는 행동을 의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소꿉장난은 가장 놀이의 대표적인 행태이다.

사전검사

pretest

pretest 사전검사: 실험연구에서 실험변인을 적용시키기 전에 실시하는 검사. 단일집단설계(single group design)에 있어서는 사후검사의 비교를 위한 준거검사(criterion test)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통제군 간의 질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다. 사전검사에 의하여 양 집단 간의 피험자의 질적 차이가 있으면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과 같은 통계적 방법을 써서 실험효과의 검증을 해야 하며 양 집단이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차가 나타나면 사후검사의 차만으로 실험의 효과를 검증한다.

출현율

prevalence

prevalence 출현율: 특정한 시기에 특정연령대 및 특정한 장소에서 어떤 집단 내에 특정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의 전체 비율을 말한다. 출현율은 보통 백분율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말더듬의 출현율은 "출현율 = 주어진 기간 내에서 말더듬으로 판명된 사람의 수 / 그 집단의 전체 사람 수 × 100"의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발생률(incidence)과는 달리 출현율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특정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일컬으므로 새로운 사례 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결정하는 데에는 유용하지 않다. 그러나 출현율은 특별한 시기에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지역을 결정할 때 발생률보다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출현율과 발생률은 기준, 방법, 성별, 나이, 집단, 종족, 사회 정치적 요인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incidence 참조.

예방

prevention

prevention 예방: 질병 또는 장애의 발생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는 모든 활동(1차 예방), 질병 또는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 그것을 제거하거나 치료함(2차 예방), 또는 질환 자체의 개선이 불가능할 경우 치료를 통해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킴(3차 예방).  

구어전 행동

preverbal behaviors

preverbal behaviors 구어전 행동: 낱말과 구를 말하기 전의 의사소통 행동; 옹알이가 그 중 가장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