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ary language impairment(PLI) 일차성 언어장애: 언어 지연의 기질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에 한해 기질적인 원인들을 배제함으로써 진단되며, 기존의 단순언어장애(SLI) 정의를 포함한다. 또래아동과 비교하여 제한된 언어능력을 보이며, 주의, 작업기억, 처리속도, 집행기능과 같은 인지영역에서도 어려움을 보인다. 절차적 기억체계가 서술적 기억체계 보다 손상되어 어휘의 뜻을 유추하고 인출해야 하는 과제에 어려움을 갖는다.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참조.
primary motor cortex 일차 운동 피질: 전두엽 내의 영역으로 정교화 되고 숙련된 수의적인 움직임을 근육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피질영역이며, “중심앞이랑” 또는 “운동띠”로도 알려져 있다.
primary native language 모국어: 자기 나라의 말. 주로 외국에 나가 있는 사람이 고국의 말을 이를 때에 쓴다.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진 국어에서, 자기 민족의 언어를 국어 또는 외국어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primary palate 일차구개: 윗입술과 치조돌기로 발전될 태아기 조직. 구개가 형성되기 이전의 구개(prepalate).
primary palate 일차성 구개. palate 참조.
primary placement features for vowels consonants 모음과 자음에 대한 일차적 위치자질: Chomsky와 Halle(1968)는 자음성자질, 긴장성자질, 유성성자질, 지속성자질, 비성성자질, 소음성자질 등은 기초 자질체계에서 유보하고, 다른 모든 경우에는 새로운 자질로 대치한다. Jakobson의 체계와 SPE의 체계 간에 근접한 상호관계가 있음을 다음에서 볼 수 있다. SPE
primary progressive aphasia 원발성 진행성 실어증: 전두측두엽 치매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행 질환에 기인된 서서히 진행하는 퇴행성 언어장애이다. aphasia참조
primary reinforcement 일차적 강화: 음식물이나 물과 같이 효과가 학습에 의존되지 않는 강화제.
primary reinforcers 일차 강화물: 조건화되지 않고도 강화로 사용가능한 무조건 강화물로 생존이나 생물학적 기능에 중요한 자극 혹은 사건. 예를 들면, 배고픈 사람에게 음식, 목마른 사람에게 물, 추위에 떠는 사람에게 온기 등이다. 이러한 강화물은 강력하지만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으며, 대상자의 욕구가 채워진 순간부터는 강화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reinforcer 참조.